논문 상세보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열매 추출물의 Lactobacillus plantarum 젖산발효를 통한 고농도 GABA 함유 발효음료 제조 KCI 등재 SCOPUS

Production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everage fortified with high content of gamma-amino butyric aci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64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오미자 열매를 이용하여 기능성물질인 GABA를 강화시 킨 오미자 젖산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해서 L. plantarum EJ2014에 의한 젖산발효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오미자 열 매 추출액을 젖산 발효시킨 경우 발효 2일 동안 생균수 4.0×107 CFU/mL수준을 유지하면서 젖산균 증식이 미비하 였지만 영양성분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경우 50배 정도 증가된 2.2×109 CFU/mL생균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젖산발 효 3일 동안에 대조군, MSG, YE를 각각 첨가군에서 초기 pH 3-4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반면에 YE와 MSG를 함께 첨가한 발효물은 pH가 증가되면서 pH 5.0 이상을 나타내었 으며, 초기 산도 1.74%에서 발효 3일에 0.56%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오미자 열매 추출물인 대조군과 2% MSG 또는 0.5% YE만을 첨가한 조건에서는 GABA로 소량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MSG와 YE를 함께 첨가한 경우 젖산발효 1일째부터 GABA가 생성되면서 3일째에는 MSG 2%를 거의 소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PLC 정량분석 으로 0.92% GABA 생성이 확인되었다. MSG와 YE함께 첨가한 발효조건에서는 젖산발효 1일째부터 발효물은 붉 은 색이 퇴색되면서 황색으로 변화하였으며, 발효 초기에 적색을 나타내는 a값이 15.74에서 발효 후에 5.39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 맛, 향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관능평가에서 오미자 착즙 원액과 발효물 100%인 실험군에서 점수가 각각 4.50, 4.33을 기록하여 상 대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에 발효물 50% 첨가한 실험군이 6.33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 점수를 나타내었다. 오미자 열매 추출액에 오미자 발효물을 50% 첨가함으로서 기호성이 우수하며 고농도 GABA와 probiotic을 함유한 오 미자 발효음료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E) was fermented by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EJ2014 to produce a beverage fortified with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fter 2 days of fermentation in the presence of 2% monosodium glutamate (MSG) and 0.5% yeast extract (YE), the four-fold-diluted OE showed a higher viable cell count (2.2×109 CFU/mL) and lower acidity (1.2%) than that of the unfermented OE. In particular, addition of MSG as a precursor resulted in a small increase in the initial pH. MSG (2%) was completely converted to GABA (0.92%) dur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for 3 days. Furthermore, the acidity of the fermented OE decreased from 1.74% to 0.56%. In addition, the original red color of the OE disappeared during LAB fermentation. However, when the fermented OE was mixed with 50% of the original OE, the original red color was recovered, with 19.56 and 13.92 for Hunter L and a values, respectively. The mixture of 50% original OE and 50% fermented OE showed the highest sensory score including the highest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the OE fortified with GABA and probiotics was produced by fermentation with a static culture, L. plantarum EJ2014.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재 료
  균주 분리 및 동정
  스타터 배양
  오미자 열매 추출액의 젖산발효
  오미자 열매 추출액 발효물의 이화학적 분석
  GABA생산 및 분석
  관능검사 및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오미자 열매 추출액의 일반성분
  균주의 선별 및 동정
  오미자 열매 추출액의 젖산발효 최적화
  생균수, pH, 산도 및 색도 변화
  GABA생산 최적화에 YE 및 MSG 첨가 효과
  오미자 젖산 발효음료 제조
  관능평가
 요 약
 References
저자
  • 이효선(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Hyo-Seon Lee
  • 권순영(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Soon-Young Kwon
  • 이승욱(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Syng-Ook Lee
  • 이삼빈(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개발 및 산업화지원센터) | Sam-Pi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