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백산도립공원의 사면 및 해발고별 식생구조 변화 KCI 등재

The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by Slope and Altitude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1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태백산도립공원의 남사면인 금천계곡과 북사면인 제당골의 식생을 조사하여 사면 및 해발고별 식생구조 및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발 850m의 금천계곡에서 1,380m의 마루금을 거쳐 950m 제당골까지 해발 50m간격으로 30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조사 및 종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태백산도립공원은 사면에 관계없이 신갈나무, 거제수 나무, 층층나무, 피나무, 당단풍나무, 함박꽃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넓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물박달나무, 생강나무 등은 남사면에, 마가목, 귀룽나무, 개벚지나무, 시닥나무 등은 북사면에만 분포하고 있었다. Ordination 분석결과 사면별로 식생이 불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북사면의 식생은 사면향 에 따른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 1,200m이상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신갈나무는 환경요인 중 해발고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륜분석결과 주요 식생인 거제수나무는 53년, 신갈나무는 최고 94년생까 지 분석되었다.

Through the vegetation survey of Geumcheon Valley on the south-facing slope and the other side of the valley, Jedanggol on the north-facing slope in Taebaeksan Provincial Park,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change by slope and altitude were examined. From Geumcheon Valley(850m) via the ridge(1,380m) to Jedanggol(950m), thirty plots at intervals of 50m altitude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er pictum subsp. mono, Fraxinus rhynchophylla, Betula davurica and Lindera obtusiloba were observed only in the south-facing slope, while Sorbus commixta, Prunus padus, Prunus maackii and Acer komarovii were observed only in the north-facing slope. However, Quercus mongolica, Betula costata, Cornus controversa, Tilia amurensis , Acer pseudosieboldianum and Magnolia sieboldii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over both the slopes. The analysis of ordination found that the vegetation was distributed discontinuously by slope. Especially, the vegetation of the north-facing slope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direction that the slope fac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hich is the dominant species at an altitude of over 1,200m, was determined to be affected by elevation factor. The maximum age of the major trees was as follows: Betula costata and Quercus mongolica were estimated to be 53-year-old and 113-year-old respectively.

목차
서론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지
  2. 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조사지 개황
  2. 식생구조
 REFERENCES
저자
  • 이상철(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ang-Cheol Lee
  • 강현미((사)백두대간숲연구소) | Hyun-Mi Kang
  •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ong-Hyun Choi 교신저자
  • 박석곤(국립순천대학교 조경학과) | Seok-Gon Park
  • 유찬열(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Chan-Yeol 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