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원구성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연구 KCI 등재

Study on Recognition and Demand for Career Education of Private Tutoring Center Memb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2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안정적인 정 착과 발전을 위하여 학교교육뿐만 아니라 학원교육에서도 바람직한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인식하 고, 학원구성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원 구성원은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교육기회 탐색>일과 직업 이해>진로계획과 준비’ 등을 위해 학원에 도입 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자신의 교육능력은 낮게 인식하였다. 경영효과성은 ‘원생입시>이미지 개선>연속 수강’ 등 대체로 높았다.
둘째, 학원구성원은 학원에서 진로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학원장의 관심과 의지>강사의 진로교육 전문성 확보’ 등이 필요하고,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진로· 진학 상담>학부모 대상 교육>전문기관과의 협력>학원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진로교육 내용은 ‘자아이해>교육기회 탐색>진학 준비>일과 직업이해>진로계획과 준비>직업정보 탐색> 진로의사결정 능력개발>대인관계 및 의사소통>건강한 직업의식’ 순이었다.
셋째,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는 ‘광역시’와 ‘중소도시’가 ‘서울시’보다 높았고, 진로교육을 실시 하는 학원이, 진로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는 구성원이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학원에서 진로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원구성원, 학원장, 학부모,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at desirable career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in not only public schools but also in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stabl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which prepares for rapidly changing future. The results show firstly that private tutoring center members considered career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students to ‘explore education opportunity > understand work and career >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while their career education ability was recognized to be low. Management effectiveness was overall highly recognized in the fields of ‘student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mage improvement > consecutive registration’.
Secondly, private tutoring center members recognized ‘parents’ interest and involvement > private tutoring center directors’ interest and involvement > instructors’ acquirement of career education expertise’ to be needed. For vit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periodic career/higher education counseling > parent education > collaboration with specialist organization > private tutoring center care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was deemed to be necessary.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were ‘self-understanding > exploration for education opportunity> higher education preparation > understanding work and career >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 exploration of career information > career decision-making capability development >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 healthy work ethic’ in sequence.
Thirdly, recognition and demand for career education was higher in private tutoring centers that carried out career education, and in members who had experience in career education than in cases with no experience.
In conclusion, for career education to be desirably carried out in private tutoring centers, interest and support of private tutoring center members/directors, parents, and government is requir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1. 학교에서의 진로교육 현황
  2. 학원에서의 진로교육 현황
  3. 진로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5. 연구의 한계점
 Ⅳ. 연구결과
  1. 학원구성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2. 학원특성에 따른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차이
  3. 개인배경에 따른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차이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임정빈(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Jungbin Rim
  • 박명희(연세대학교 강사) | Myunghee Par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