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우 거세우에서 주요 도체등급평가 형질들과 부분육 관련 형질들 간의 상관관계 KCI 등재

Relationship of Major Carcass Grading Traits with the Related Retail Cut Productivity Traits in Hanwoo Ste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3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의 한우 거세우 3,926두의 도체등급판정 성적과 부분육 수율 조사자료를 이 용하여 도체등급판정과 관련된 형질들(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마블링 및 육량지수)과 부분육 생산관련 형질들(부분육 중량과 수율, 지방중량과 비율, 뼈 중량과 비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의 도축일령과 도체중의 평균치는 각각 952.53일과 454.58㎏이 었으며, 부분육 수율, 지방율 및 뼈율의 평균치는 각각 61.69%, 26.54% 및 11.77%였다. 도체중은 부분 육 중량, 지방중량, 뼈 중량 및 지방율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부분육 수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등지방두께는 부분육 수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그리고 지방율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등심단면적은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블링은 부분육 수율과의 상관 계수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작은 -0.01이었으며 지방율과의 상관계수가 유의성은 인정되었지만 작 은 크기의 양수인 +0.04였다. 육량지수는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과의 상관계수가 비교적 큰 크기의 +0.51 및 -0.57로 나타났다. 상관계수의 크기를 가지고 비교했을 때, 5개의 도체등급관련 형질 중 도 체중은 부분육 중량, 지방중량 및 뼈 중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육량지수는 부분육 수율과 지방율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체중에 대한 부분육 중량과 지방중량의 단순 직선회귀 계수는 각각 +0.562 및 +0.364㎏, 그리고 육량지수에 대한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의 단순 직선회귀계 수는 각각 +0.341 및 -0.445%로 나타나서 도체중이 1㎏씩 증가할수록, 도체에서 회수되는 부분육 중 량이나 지방중량은 각각 0.562㎏ 및 0.364㎏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육량지수가 1% 증가할수록 도체를 구성하는 부분육 비율은 0.341% 증가하고 지방의 비율은 0.445%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arcass traits of Hanwoo steers. The traits evaluated at the time of carcass grading were cold carcass weight(CWT), back fat thickness(BFT), eye muscle area(EMA), marbling score(MAR) and lean yield index(MINDEX). The traits measured after retail cut processing were lean meat weight and percentage(LEAN, and %LEAN), trimmable fat weight and percentage(FAT and %FAT), and trimmed bone weight and percentage(BONE and %BONE). Carcass data of 3,926 Hanwoo steers slaughtered from 2010 to 2012 were collected from Hongcheon county of Kangwon province. Mean slaughter age and carcass weight were 952.53 day and 454.58㎏ respectively and mean retail cut percentage, fat and bone percentage were 61.69, 26.54 and 11.77%, respectively. CW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N, FAT, BONE and %FAT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AN and %BONE. BF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LEA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 EMA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N and %LEA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MAR were insignificant and low of -0.01 with %LEAN and significant but low of +0.04 with %FAT. MINDEX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LEAN and negatively with %FAT and thos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mparatively large of +0.51 and -0.57,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magnitud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CWT among the five carcass grading traits might be the most important traits for the variations of LEAN, FAT, and BONE. And MINDEX might be the most important trait for the variations of %LEAN and %FAT. Simple linear regression coefficient of LEAN and FAT on CWT were +0.562 and +0.364㎏, respectively. Those of %LEAN and %FAT on MINDEX were +0.341% and -0.44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 of 1㎏ in CW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0.562㎏ and 0.364㎏ for LEAN and FAT. And the increase of 0.341% for %LEAN and the decrease of 0.445% for %FAT might be expected as the 1% increase of MINDEX.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2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평균능력
  2 상관계수
  3 회귀방정식
 References
저자
  • 이주영(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정선군 농업기술센터) | Lee Joo young
  • 이정구(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 Lee Jeong koo
  • 김종복(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 Kim Jong bo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