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방 전후 한국 기독교의 칼 바르트 신학 수용 과정과 인식 변화 : 한・일 출판 동향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Process of Karl Barth’s Reception in Korean Christianity and Changing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Centering on Publishing Trends in Korea and Jap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4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韓國敎會史學會誌 (한국교회사학회지)
한국교회사학회 (The Church History Society in Korea)
초록

1930년대에 접어들어 일본기독교계엔 바르트에 대한 열풍에 가까운 관 심으로 다수의 바르트 신학 관련 번역서들이 출판되었다. 그와 비교할 때, 한국의 기독교 출판계는 선교사들의 통제 하에 기초적인 단계의 신학 및 신앙서적들의 번역소개에만 머물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에 비해 당시의 최 근 신학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 신학 서적들의 번역 소개는 충실히 이 루어지지 못했다. 한국교회에 본격적으로 칼 바르트에 대한 사상이 소개되는 것은 1930년대 초반부터이며, 주로 신문과 잡지에 바르트 신학의 기초 적 내용들이 소개되고 있다. 해방 전후 한국교회에서 활동한 대부분의 신 학자들은 ‘바르티안’(Barthian)들이었으며, 대부분 1930-40년대에 유학한 일본의 여러 신학교 출신들이었다. 해방 직후 신진 학자들의 칼 바르트 대 표 저작의 번역출판 시도가 있었지만, 6.25전쟁의 발발로 지체되었고, 이후 1950년대까지는 바르트 등의 최근 신학 저술들이 번역 소개되어도 대부분 이미 출판된 일본어 번역서를 모본으로 삼아 한글 번역을 시도한 결과였 다. 그러나 1960년 전후부터는 일본어 번역문의 피동적 수용 자세를 탈피 하기 위해 독일어 원문과 영문 텍스트를 직접 한글로 옮기는 등의 주체적 수용 노력을 보인다. 비록 일제강점기의 한국교회와 기독교 출판은 일본의 신학계와 기독교 출판계의 성과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지만, 해방 이후부터는 구미의 신학을 직접 배우고 익혀, 한국인의 정신사와 종교문화에 걸 맞는 번역과 연구 성과들을 출판물로 산출하기 시작했다.

In the 1930s, the immense popularity of Karl Barth among Japanese Christians led to the publication of the translations of many books on Barth’s theolog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hristian publishing industry did little except introduce the basic tenets of Christian theology and the translations of religious books under the direction of missionaries. Therefore, compared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Korean theologians could not commit themselves to introducing important theological books that were needed to understand current theological trends.
It was not until the early 1930s that the ideas of Karl Barth were introduced to Korean Christianity. Newspapers and magazines played a central role in introducing the basic ideas of Barthian theology. Most theologians who were actively involved in Korean churches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were “Barthians,” and the majority of them had attended religious schools in Japan in the 1930s to ‘40s. Though emerging scholars attempted to publish the translations of Barth’s famous books immediately after the independence, such attempts were interrupted by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translations of current theological writings, including those by Barth, introduced until the 1950s were mostly reliant on the Japanese translations. In the 1960s, however, Korean theologians took more proactive measures, such as translating German sources and English texts to Korean, to break away from the practice of passively receiving Japanese translations. Whil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publishing under Japanese rule had no choice but to depend on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theologians and Christian publishing industry, Korean theologians embarked on the American and European religious studies following the independence and began to publish translations and research outputs that were more aligned with Korean spiritual history and religious cultures.

목차
여는 글
 1. 전시체제하 칼 바르트 신학 수용 과정과 한·일 출판 동향
  1) ‘내지신학’(內地神學)으로서의 바르트 신학
  2) 일제하 한국인의 바르트 신학 수용
  3) 일본에서의 바르트 신학 열풍과 왜곡
 2. 패전 이후 일본의 바르트 수용의 태도 변화와 출판 동향
 3. 해방 이후 한국에서의 바르트 연구와 기독교 출판의 주체성 회복노력
  1) 해방 이후 한국 신학도들의 자발적 바르트 연구
  2) 한국전쟁 이후 바르트 신학 출판의 변화
  3) 최신 서구신학의 적극적 소개와 한국신학의 주체성 확립
 닫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초록
저자
  • 홍승표(신앙과지성사) | Hong Seung P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