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 교실 환경을 고려한 제2언어 통합 교과 모형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 교사 협업의 발전가능성 KCI 등재

Unearthing the potentials of pre-service teachers' collaboration through integrated L2 curriculum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classroom sett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038
  • DOIhttps://doi.org/10.14328/MES.2016.9.30.10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교실 내 다문화 배경 아동 학습자가 늘어가고 있으나 이들의 KSL 학습을 지원할 예비 초 등 교사에 대한 이론적 교육과 훈련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두 명의 학생이 협업을 통해 다문화 교실 환경을 겨냥한 이중 언어 교육 시행 방안을 강구하 도록 하였다. 참여자들은 CLIL 기법을 접목하여 한국어와 영어 교과를 내용교과인 사회와 결합한 통합 교과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의견 상충과 정체를 겪기도 하였으나 입장을 재조정하고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하여 공동의 결과물을 도출해낼 수 있 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는 예비 교사로서 개선 의지와 문제의식을 가지 고 있으나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새로운 도전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드러내었다. 또한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 경험의 부족으로 다문화 배경 학습자에 대한 편향된 시각을 보이기 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교육 교실 환경에서 교육자가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지닌 아이들이 상호 발전하는 제2언어 학습을 이끌어내기 위해 개인의 인식 확장과 노력뿐만 아 니라 공공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함의를 지닌다.

There is a strong need to enhance conceptual and practical training for pre-service teachers to support multicultural children’s KSL learning. The current study aims at constructing a co-teaching method of dual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lassroom environments. Two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CLIL, developed an integrated curriculum which combined Korean and English language with the content subject of Social Studies. Throughout the process of devising a curriculum, the dyad mediated each other’s difficulties and co-generated comprehensive outcomes. Yet, they showed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transformative ways to improv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imited awareness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ystematic approaches as well as individual efforts to broaden the perception are needed to create interactive L2 classroom environment encompassing learners with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

목차
Ⅰ.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국내 다문화 교육의 방향
  2.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 따른 이중 언어 교육의 실천
  3. 교과 통합을 위한 협업 교수
 Ⅲ. 연구 방법
  1. 참여자
  2. 연구 자료 및 절차
  3. 데이터 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공동의 목표를 향한 가치관 차이의 조율
  2. 통합 교과 모형 구체화에서 직면한 어려움과 극복
 Ⅴ. 결론 및 교육적 함의
 국문요약
 참고문헌
저자
  • 염세미(서울대학교) | Semi Yeom Corresponding author
  • 손주한(한국외국어대학교) | Joohan 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