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6-17세기 유학자의 유람록으로 본 금강산 불교 KCI 등재

Mt. Kungang Buddist through record of excursion written by confucian between 16th century and 17 centu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138
  • DOIhttps://doi.org/10.14381/NMH.2016.51.09.30.2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16-17세기에 찬술된 유학자의 금강산 유람록 27편을 통해 금강산 불교를 고찰한 글이다. 그 유람록을 통해 금강산 소재의 118개 사찰과 암자가 흥망성쇠를 거듭했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高僧이 있는 寺庵에는 많은 제자들이 함께 수행하고 있었지만, 임진왜란 이후 남한산성 축조에 동원되면서 금강산 사찰이 텅 비다시피 했던 때도 있었다.
금강산 유람객들은 대부분 사찰을 숙식처로 사용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유학자와 승려 사이에 교류가 있었고, 유학자들이 승려 비 문을 써주거나 글씨를 써주기도 했다. 대화가 통하는 경우에는 밤늦도 록 定慧나 理氣 등의 철학적 문제에 대해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러한 교류를 통해 유학자들이 불교에 관심을 가지거나 불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일 수 있었던 것 같다.
한편 유람객들은 승려들이 메는 가마를 타고 오르는 경우가 많았다. 가마를 메는 藍輿僧은 1565년부터 1572년 사이 금강산을 유람했던 楊士彦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鄭曄과 李世龜의 유람록에서 기록하고 있다. 실제 1572년 이전 금강산이나 지리산의 유람록에서는 남여승에 대한 언급을 발견할 수 없으므로 남여승의 관습이 확산된 시기는 16세 기 후반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明宗代 文定王后 승하 후 불교 계의 위상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his is a manuscript that is given consideration to Mt. Kumgang Buddist through Mt. Kumgang record of excursion in 27 volumes of confucian written between the 16th century and the 17th century. As the record of excursion, I could identify that 118 temples and hermitages of Mt. Kumgang whereabouts continuously rise and fall. Many disciples were practicing asceticism in temple and hermitage that is stayed a high priest of Buddhism, but Mt. Kumgang temple used to be become empty because they mobilized construction of Namhansanseong after the Imjin War.
Most Mt. Kumgang sightseers used temple as an accommodation. So there were naturally association between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monks, and then confucian scholars also wrote an epitaph of Buddhist priests or letter. When they communicate well with each other, they used to dispute about philosophical problems such as Samadhi and Prajna, Principle and Force and so on till late at night. I think that confucian scholars are interested in Buddhism and reduce an negative awareness about Buddhism through these exchanges of opinions.
Meanwhile, there are many cases that sightseers ride and climb in a palankeen which monks bear. The record of excursion of Jeong Yeop(鄭曄) and Lee Se-gu(李世龜) was recorded that palankeen bearer monk originated in Yang Sa-on(楊士彦) who went sightsee Mt. Kumgang between 1565 and 1572. Actually, it seems to be the late 16th century when the custom of palankeen bearer monk speads throughout the country because we couldn't discover mention a palankeen bearer monk in Mt. Kumgang and Mt. Jiri record of excursion. I think this is because the statue of Buddhism depreciated after the death of Queen Munjŏng in the reign of King Myongjong.

목차
1. 머리말
 2. 금강산 寺庵의 시대적 변천
 3. 금강산 승려의 불교적 위상
  (1) 修行僧
  (2) 儒佛交流
  (3) 藍輿僧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종수(순천대 HK교수) | Lee Jong-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