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德山九曲 設定의 필요성과 의의 KCI 등재

A Study on a Need for and Significance of Deoksangugok Set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139
  • DOIhttps://doi.org/10.14381/NMH.2016.51.09.30.1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南冥 曺植(1501-1572)의 만년 은거지인 지리산 천왕봉 아래 德山洞天에 德山九曲이 설정되지 못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덕 산구곡의 설정이 왜 필요한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근거는 무엇이어 야 하는지, 덕산구곡의 실체는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이며 그 역사적·문 화적 사실은 무엇인지, 덕산구곡 설정의 의의와 기대효과는 무엇인지 를 논의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것만을 논의하면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앞에 孔孟과 朱子로 이어진 동아시아 山水認 識의 傳統과 九曲文化,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인식과 구곡문화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慶尙右道 지역의 학술이 극도로 침체 된 조선후기 이 지역의 학자들이 南冥學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한 것 중에 三山書院의 位相을 鼎立하여 晦齋·退溪와 함께 南冥을 추숭하고 자 한 노력, 三山九曲詩를 지어 보내 陶山九曲·玉山九曲과 함께 德山九 曲을 드러내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오늘날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남명학을 보전하고 계승하는 길인지를 찾아보려 하였다.
이러한 이 지역 선현들의 정신을 계승하여 오늘날 뜻 있는 인사들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 德山九曲을 設定하고 경영하여 德山을 명실 상부한 道學의 聖地로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는 남명학을 계승하고 체험할 수 있는 현장과 콘텐츠를 확보하는 중요한 일이다. 이를 통해 安德文과 河範運이 추구한 영남의 세 先賢을 함께 존모하는 새로운 학풍을 만들어나간다면 嶺南을 鄒魯之鄕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그 렇게 되면 영남이 중국의 曲阜나 武夷山 못지않은 儒學의 産室로 세계 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Raising a question about why Deoksangugok was not set in Deoksandongcheon below the Cheonwang Peak of Mt. Jiri, which was Nammyeong Jo Shik(1501-1572)'s shelter in his later years,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why Deoksangugok should be set, what grounds should be met to set Deoksangugok, what kind of place Deoksangugok was, what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it had, and what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s its setting had.
Those discussions would not be enough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Deoksangugok setting, which was why the study provided a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tradition of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from Confucius and Mencius to Zhu Xi in East Asia and also the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among the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The study then looked into the efforts made by the scholars of Gyeongsangwudo to inherit Nammyeo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when the scholarship of the region was in serious depression, including the efforts to worship Nammyeong along with Hoijae and Toigye by establishing the status of Samsan Seowon and promote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by writing and sending out Samsangugok poems in order to figure out what to do today to preserve and inherit the heritage of Nammyeong studies.
Inheriting the spirit of old sages in the region, the significant figures today should make it a top priority to set and manage Deoksangugok and turn Deoksan into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true to its name. It will be critical to secure the field and content to inherit and experience Nammyeong studies. If a new academic tradition is created of worshipping the three sages of Yeongnam sought after by Ahn Deok-mun and Ha Beom-woon based on them, Yeongnam will be reborn as the home of Confucius and Mencius. When the day comes, Yeongnam will attract global attention as the cradle of Confucianism comparable to Qufu and Mt. Mui of China.

목차
Ⅰ. 문제의 소재
 Ⅱ. 동아시아 山水認識의 傳統과 九曲文化
  1. 동아시아 산수인식의 전통
  2. 조선시대 구곡문화
  3. 嶺南의 三山書院과 三山九曲
 Ⅲ. 德山九曲 設定의 필요성과 의의
  1. 덕산구곡 설정의 필요성
  2. 덕산구곡 설정의 논거와 구곡의 실체
  3. 덕산구곡 설정의 의의와 기대효과
 Ⅳ.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저자
  • 최석기(경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겸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Choi Seok 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