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가족의 선교를 위한 교회의 역할과 과제 KCI 등재

The Role and Problem of the Church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Mis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976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6.4.2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국경을 초월한 이주민의 증가와 이질적인 문화권 간의 접촉이 활발해지면서 한 사회 안에서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공존방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다문화사회에 따른 이주민에 대한 지원은 이주 민 당사자뿐만 아니라 이주민의 출신국과 관계되는 사안으로 국가별 국가적 차원에서 대응책을 마련 중에 있다. 정부의 다문화가족 지원정 책은 2006년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및 혼혈인 이주자 사회통합지원 방안과 교육부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대책의 수립에서 연원되었 다. 다문화가족 지원에 있어 국가의 제도적 지원과 민간단체의 여타의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족의 개인의 특성 및 지역의 환경적 특성에 따라 사회서비스의 이용률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교회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관심과 그들을 교회에서 어떻 게 수용해야 하는지 등 코이노니아적 실천방법에 대한 모색을 간과하였 고 이에 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회 내에서 다문화가족을 수용하는 데 있어 전제되어야 하는 점이 무엇인지, 정부와 지자체 혹은 민간단체가 담당하지 못하는 영역이 무엇인지 등 교회의 다문화 선교적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다문화가족의 거주현황 및 생활실태, 정부와 교회의 다문화가족의 지원실제 등을 살펴보고 교회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선교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다문화 선교 전문가 양성이 요구되고, 둘째, 편견해 소를 위한 문화적 다양성 교육의 실시와 교회학교의 교재개발이 요구된 다. 셋째, 목회적 돌봄과 상담체계의 구축이 요청되고, 넷째, 교회 및 다문화 유관기관과의 목회적 협력 속에서 디아코니아적 실천이 확대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방과 후 교실의 운영과 기독교 대안학교 설립 운영에 대한 제고가 요청된다.

Interest in a variety of ways coexistence of peoples and cultures in a society with increasing contacts between cross-border migrants and disparate cultures of migrants has been heightened. Support for migrants in accordance with the multicultural society has provided a response in the country as a national issue that is related to the country of origin of migrants as well as migrants parties. Governmen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was established in the origins of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for immigrant families, women and mixed race migrants social integrational support measur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2006. Thi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nd national institutional support in spite of the efforts of the other, and there was utilization of social services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ivate local NGO group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Meanwhile, the church had neglected to seek for such practices should be diahkoniah ever do accept them in the church and concern for multicultural families was also very lack of research on this. In this paper, what point is it required to accommodate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in the church to be investigated whether that point, What areas does not recognize responsibility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o I want to look at the status and living conditions of Korea featur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ing the actual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church suggestions about the role and tasks of the church. First, mission paradigm is required and migrants mission specialists are required. Second, it should be carried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urch and the development of church school materials. Third, pastoral family care and counseling system build is requested, fourth, get out of enemy action in expanding the diahkoniah in cooperation with churches and related multicultural agencies, and finally it requested a raise for classroom after school, Korean as second schol founded and operated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operat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특징
 Ⅲ. 다문화가족의 거주현황과 생활실태
  1. 다문화가족의 개념 및 범위
  2. 다문화가족의 거주 현황
  3. 다문화가족의 생활실태
 Ⅲ. 정부와 교회의 다문화가족 지원 실제
  1. 정부의 다문화가족 지원 실제
  2. 교회의 다문화가족 지원 실제
 Ⅳ. 다문화사회에 따른 교회의 역할과 과제
  1. 선교 패러다임의 전환과 전문가 양성
  2. 문화적 다양성 교육과 교재개발
  3. 목회적 돌봄과 상담체계 마련
  3. 목회적 돌봄과 상담체계 마련
  4. 다문화 유관기관 및 교회간 협력체계 구축
  5.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대안학교 설립 제고
 Ⅴ. 나가는 글
 참고 문헌
저자
  • 이성순(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 | SeongSun Le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