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각자 김마리아에 대한 선교적 조망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977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6.4.2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기독교는 한국 역사의 격동기였던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에 전래 되었다. 이 시기에 복음은 개인에게 옛 관습에서 벗어나는 해방의 기쁨을 주었고, 민족에게 일제 치하로부터 해방되리라는 소망을 갖게 하였다. 특별히 한국 여성들에게 복음에 의한 회심과 삶의 변혁이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등 여러 방면으로 놀랍게 나타났다. 한국 기독 여성들 가운데서 김마리아(1892-1944)는 선각자 역할을 한 본보기였다. 본 연구는 김마리아의 삶에 집중하여 회심과 변혁의 생애를 통전적인 선교적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김마리아는 초기에 기독교를 받아들인 가정에서 태어났고 기독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녀는 일평생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국 인, 여성운동가, 교육가로서 정체성을 가지고 활약하였다. 그녀는 한국인으로서 일제 치하에서 2.8 독립선언과 3.1 독립운동에 가담하여 고문과 옥고를 치렀다. 또한 여성으로서 당시 집안에서 머물러 있던 관습에서 벗어나 양성평등사상을 가지고 대한민국 애국부인회를 조직 하여 대외적인 활약을 하였고 여전도회연합회 회장으로서 교회 여성들 을 이끌었다. 그녀는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가로서 수피아 여학교, 정신여학교, 마르타 윌슨 여자신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런데 안타 깝게도 김마리아는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김마리아는 당시 기독교인에게 당면한 선교적 과제인 독립운동과 여성평등을 위하여 변혁자로서 선교적 소명에 충실하였다. 또한 그녀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시대적 소명에 응답하며 한국 여성이 근현대사의 주체로 활동할 수 있는 장을 열었다.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그녀가 민족주의적 기독교를 추구하는 한계에 있었지만, 양성평등 관점에서 남녀 동반자 의식과 여성교육을 통한 주체성 확립을 추구하는 선각자적 정신이 있었다. 그녀의 변혁적 삶은 오늘날 아직도 장벽이 남아 있는 한국교회 여성과 경제적, 정치적, 성적 억압에 고통당하는 세계 여성들 에게 도전을 준다.

Missionaries arrived in Korea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e of the most turbulent times in Korean history. The Good News brought by these missionaries liberated individuals from old traditions and gave the people hope of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 Many Korean women especially experienced conversion and successful transformation. Among them, Kim Maria(1892-1944) was a role ㅍmodel for other Korean women. This paper examines the missiological perspective of Kim’s thoughts and activities.
Kim was born into a first-generation Christian family and was a pioneer in Korean Christianity. She lived out her identity as a Korean, a female, and an educator. As a Korean, she participated in the Feb 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Mar 1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for which she was arrested, imprisoned, and tortured. As a woman, she tried to realize her ideal of gender equality in her every activity. She formed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She was also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Women. As an educator, Kim taught students at Speer Girls’School and Martha Wilson Seminary. Kim died of the aftereffects of torture before she could witness Korea’s liberation.
Kim was a leader who transformed the lives of oppressed women in Korea. As a kernel of wheat falls to the ground and dies to produce much fruit, her contribution and death liberated Korean women and the nation. Her missional life continues to inspire Korean women and others around the world still under gender, economic, political, or spiritual oppression.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김마리아의 회심과 변혁
  1. 김마리아의 어린 시절과 회심
  2. 김마리아의 변혁과 대외적 활동
 III. 김마리아의 삶에 나타난 사상
  1. 조국 독립을 위한 애국사상
  2. 책임과 권리를 추구하는 양성평등 사상
  3.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 사상
 IV. 김마리아에 대한 선교적 평가
  1. 독립운동과 선교
  2. 양성평등 운동과 선교
  3. 교육 활동과 선교
 V. 나가는 글
 참고 문헌
저자
  • 이선이(장로회신학대학교, 선교학) | Seonyi Le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