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답전윤환 포장 내 옥수수 및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발생 특성 KCI 등재

Characterization of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Pyralidae) Occurrence Against Maize and Sorghum Varieties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92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답전윤환 옥수수 8품종 및 수수 7품종 재배포장에서 조명나방 발생 및 수확 특성을 조사하였다. 매주 이뤄진 성충 트랩 조사에서 조명나방 밀도는 정식 2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6월 중순에 최성기에 도달 후 감소하다 9월 초 소폭 증가 후 감소하였다.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 수와 침입공수를 매주 옥수수 미백2호와 대학찰 그리고 수수 남풍찰과 동안메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학찰과 미백2호에서 피해주가 각 20주당 19주와 18주였고, 주당 침입공수도 6월말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수확기인 7월말에 대학찰은 주당 평균 1.8개, 미백2호는 1.4개로 나타 났다. 수확기에 옥수수 8품종에 대한 피해율과 침입공수를 조사한 결과, 대학찰 94%, 미백2호 92%, 일미찰 71%, 얼룩찰1호 64%, 찰옥4호 54%, 미흑찰 52%, 흑점2호 45%이었다. 주당 침입공수는 일미찰이 1.21개였고 나머지 품종들에서는 1개 미만이었다. 또한 옥수수 각 품종별로 이삭 10개씩 3반복으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이삭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일미찰 50%, 흑진주찰 40%, 대학찰 37%, 미흑찰과 흑점2호 13%, 얼룩찰 7% 그리고 미백2호 3% 등이었다. 수수 주요 재배품종들인 남풍찰 및 동안메는 정식 후 2개월까지 20주 평균 4주 미만으로 피해를 입다가 8월 초 에 피해가 급증하여 평균 피해주는 남풍찰이 13주, 동안메는 9.2주였고 주 당 침입공수도 8월 초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남풍찰은 주당 평균 1.06 개, 동안메는 주당 평균 0.46개였다. 수확기 수수 품종별 조명나방에 의한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DS-202 95%, 목탁수수 76%, 소담찰 75%, 남 풍찰 67%, 앉은뱅이수수 57%, 동안메 46% 그리고 황금찰 34%로 7품종 모두 조명나방에 의해 높은 피해를 입었다. 침입공수 또한 피해율에 비 례해서 DS-202(1.7개), 목탁수수(1.4개), 소담찰(1.3개), 남풍찰(1.1개), 앉은뱅이수수(1개), 동안메(0.5개) 그리고 황금찰(0.4개)로 관찰되었다. 한편, 답전윤환 옥수수 및 수수 포장에서 조명나방 피해와 수확 특성은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답전윤환 옥수수 및 수수 재배포장에서 조명나방의 관리대책을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ccurrence of oriental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and yield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for 8 maize (Eolrukchal 1, Heugjeom 2, Miheukchal, Ilmichal, Heukjinjuchal, Chalok 4, Mibaek 2, Daehakchal) and 7 sorghum (Hwanggeumchal, Anzunbaengisusu, Moktaksusu, Sodamchal, DS-202, Nampungchal, Donganme) varieties has been surveyed. In a monitoring study using a pheromone trap carried out from 15 May to 10 September, the density of O. furnacalis adults increased rapidly from about 2 weeks after maize planting and reached the highest density at mid June. After that, their density was fluctuated a little at earlier September. The number of the damaged maize and invasive pores on the stem of 2 maizes and sorghum varieties was examined. The mean number of the damaged maize per 20 plants was 19 and 18 plants, and the number of invasive pores was 1.8 and 1.4 per maize stem in Daehakchal and Mibaek 2, respectively. In a survey carried out at harvest period using 8 maize varieties, the damaged ratio was 94%, 92%, 71%, 64%, 54%, 52%, and 45% in Daehakchal, Mibaek 2, Ilmichal, Eolrukchal 1, Chalok 4, Miheukchal, and Heugjeom 2, respectively. The number of invasive pore per Ilmichal stem was 1.4 and that of the others was less than 1.0 per stem. In addition, the damaged ratio of maize ears was 50% in Ilmichal, 40% in Heukjinjuchal, 37% in Daehakchal, etc. The damage pattern of 2 sorghum varieties, Nampungchal and Donganme, by O. furnacalis larvae was steeply increased from planting to 2 months and the trend was continued up to earlier August. At this time, the mean number of damaged sorghum was 13 and 9.2 plants for Nampungchal and Donganme, and the number of invasive stem pores was 1.06 and 0.46, respectively. In another survey carried out at harvest period for 7 sorghum varieties, their damaged ratio was 95% in DS-202, 76% in Moktaksusu, 75% in Sodamchal, 67% in Nampungchal, 57% in Anzunbaengisusu, 46% in Donganme, and 34% in Hwanggeumchal. The damage of sorghum varieties was much higher and severer than that of maizes by O. furnacalis larvae. The number of invasive pores on a sorghum stem was 1.7 in DS-202, 1.4 in Moktaksusu, 1.3 in Sodamchal, 1.1 in Nampungchal, 1.0 in Anzunbaengisusu, 0.5 in Donganme, and 0.4 in Hwanggeumchal. Meanwhile, there was no distinct connection between damaging results and yields of maizes and sorghums by O. furnacalis larvae in a paddy-upland rotation field.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applic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a management strategy to control Oriental corn borer in paddy-upland rotation fields for maize and sorghum.

저자
  • 김민준((주)나리소 기능성연구소) | Min Joon Kim
  • 윤성탁(단국대학교 농업생명자원대학) | Sung-Tag Yoon
  • 이희권(고창군 농업기술센터) | Hee-Kwon Lee
  • 조형찬(우석대학교 재활학과) | Hyeong-Chan Jo
  • 김순일((주)나리소 기능성연구소) | Soon-Il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