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吳鎬의 『紅樓夢散套』 연구 KCI 등재

A Research of Wu Hao’s Hongloumeng Santa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7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曹雪芹의 소설 『紅樓夢』을 소재로 각색한 청대 시기 희곡 중에서, 극작가 吳鎬의 『紅樓夢散套』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吳鎬의 『紅樓夢散套』는 청대에 각색한 홍루몽 희곡에서 통시적으로 중간 시기에 위치한 작품으로, 극작가가 소설 원작에 대한 비평 적 태도를 드러내는 동시에 다른 홍루몽 희곡 작품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각색을 하게 된 주요 출발점이 되었음을 밝히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극작가가 이러한 태도를 구현하는 주요 각색 방법은 『紅樓夢散套』의 체제와 구성을 분석하고, 극중 인물의 배치와 운용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먼저 극의 내용을 120회 『紅樓夢』의 주요 이야기 전개 축선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원작의 색채를 존중하였고, 극 전개 상 주요 대목에서 여 성 인물을 초점화자로 설정하며 이들의 극중 역할 비중을 원작에 비해 확대하거나 축소하고, 또 역할의 성격을 변경하는 것 등을 통해 원작 및 기타 각색 희곡 작품과 구별되는 독특한 주제 의식을 형상화 하도록 하는 결과를 도출하도록 의도하였다. 『紅樓夢散套』의 극본은 여 러 차례 중복 간행하였고, 또 중국 이외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특히 한국에서 소장하고 있 는 『紅樓夢散套』유일한 청대 홍루몽 희곡 작품으로, 희곡 각색을 통한 중국에서의 『紅樓夢』수용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에서의 『紅樓夢』 전파 과정, 나아가 중국 고전 소설과 기타 장르와의 연관 관계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참고할 만한 측 면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Right after Hongloumeng was published, it has been well-received by a lot of people. Some drama writers even tried to change the plot to make it go well with traditional Chinese drama.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ze Wu Hao, the Hongloumeng drama writer, and his Hongloumeng Santao. This paper is comprised of four subjects in total, including first preface and last conclusion. First chapter starts with urging the need of this research, showing the product of the past study, and the direction of this study. Chapter two consists of the motive of the dramatization and the elements of effect. The most important portion is that Wu Hao felt the sense of competition with other writers, especially Zhong Zhen Kui. So he planed to have discrimination with the works of Zhong. In the chapter three, we are going to analyze the main features of Hongloumeng Santao, one of which presents the change of the role of the narrator, which usually is female role. Hongloumeng Santao has spreaded across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 copy in Kyujanggak, the library in Seoul Nation University in South Korea, which was printed around in 1882, has a few differences with the first copy in the point of illustration.

목차
1. 머리말
 2. 『紅樓夢散套』각색 요인과 방향
 3. 『紅樓夢散套』의 주요 특징
  1) 체제와 구성
  2) 인물의 운용
  3) 『紅樓夢散套』의 전파와 한국 소장본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주준영(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 Joo Jun-Yo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