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 개별심층(In-deep) FGI(focus group interview) 연구 KCI 등재

In-deep FGI(focus group interview) Study on Science and Art Programs as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831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6.47.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21세기 학계, 산업계를 비롯 국가적으로 그 발전을 권장하는 핵심 분야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유지하고 있지만 기존 선진국들의 견제와 중국 등 신흥 국가들의 끊임없는 도전을 통해 그 위치의 유지는 물론 향후 전망 또한 밟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래에 충분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 분야를 확보하는 것은 학계, 산업계를 망라하고 전 국가적인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이런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때문에 학계와 산업계는 물론 정부에서도 주요한 분야로 육성발전시키고자 하는 융합 분야이다. 따라서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 융합교육과 스마트교육은 지식기반인 현대사회에서 각광받고 있는 교육의 새로운 흐름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아주 중요하다.
연구의 방법 및 내용,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 사례를 국내외적로 분석하고 진단하여 관련 연구동향과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행하며, 둘째,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에 대한 개별 심층면접(In-deep Interview)을 통한 전문가 집단의 태도연구(FGI)를 실시한다.
또한 결과 분석을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제안과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향후의 실증적 자료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총 설문 대상자 30명의 전문가집단 태도에 관한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설문응답의 기술 통계로써,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설문조사를 위해서 조사계획, 설문지, 표본추출, 본 조사, 자료입력, 자료 분석 등의 전 과정에서 가장 적절한 통계적 방법을 적용한다. 특히,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FGI 설문 설계 및 통계적 분석기법과 신뢰도를 위하여 설문지 문항작성이 본 연구에서 상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전문가집단 태도에 관한 각 설문문항에 대하여 크론바흐 기법을 이용한 신뢰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여 확인한다. 설문항목은 인지 및 경험, 참여의도, 교과(프로그램)의 주제, 목표, 내용영역, 학문영역, 이수시간, 이수학점,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형태 등이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 교과(프로그램)에 대한 인지 및 경험, 참여의도, 교과(프로그램)의 주제, 목표, 내용영역, 학문영역, 이수시간, 이수학점,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형태 등 모든 문항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긍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각 문항 간 신뢰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문항 간 상관관계 또한 독립적이지 않고 연관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활성화 정도, 장단점, 한계 등의 설문항목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정부와 대학 당국의 적극적인 정책개발과 지원에 대한 아쉬움 또한 통계적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Development of science and art programs is encouraged by the academia, industries, and government as core fields in the 21st century. Despite having the 11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South Korea is constantly challenged by other developed countries and emerg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therefore, is threatened to lose its position and future prospect. As a result, securing a new industrial field that can produce sufficient profits in the future has become a national goal throughout the academia and industries. Science and art programs are recognized as the most valuable alternative that can solve this national problem, and, therefore, the academia, industries, and government are striving to foster it as a convergence field. Smart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science and art programs is a new current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of today’s society, and, in that regard, science and art program as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crucial.
The method, content, and scop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domestic and overseas cases related to science and art programs as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were analyzed and examined and previous research and relevant theories were review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evant research trend and anticipated effects.
Second, in-depth interview on science and art programs as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was conducted as FGI(focus group interview) among the experts. Also, analysis of the result was used to propose objective and reasonable policy and provide empirical data for building the relevant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is descriptive statistics related to the attitude of 30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based on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the most suitable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to planning, questionnaire, sample collection, main survey, data entry, and data analysis. Also, to ensure scientific and creative FGI survey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each question in the FGI survey was analyzed based on statistical significance by using the Cronbach method. The survey questions concerned perception and experience, participation intent, and the theme, goal, content, academic field, hours, credit, and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system) of th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sponses to all questions related to perception and experience, participation intent, and the theme, goal, content, academic field, hours, credit, and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system) of the programs, and reliability between questions was also high. In addition, the questions showed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However, questions regarding the level of activatio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sponses, and, especially, the respon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sponses regarding the policy development by an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refore, these issues will need to be addressed promptly.

저자
  • 정형기(서경대학교 교양학부 통계전공) | Jung, Hyeong 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