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언어의 디자인적 생산성과 효용성 KCI 등재

The Design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of Visual Langu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842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6.47.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가속화되는 미디어의 확장과 데이터, 정보, 지식의 홍수 속에서 급변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시대에 맞는 소통방법인 시각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시대에 맞는 시각언어의 생산이 요구되는 시점에 미래지향적 부가가치의 핵심인 시각언어의 디자인적 생산에 대한 효용성을 논의하였다. 시각언어의 사회적 역할과 특성, 표현방법을 살펴본 후 디자인적 생산성의 개념을 정의하여 생산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 결정론적 디자인적 생산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포그래픽을 통해 디자인적 생산을 시도한 기업 사례를 살펴보았다. 디자인적 생산에 기반을 둔 시각적 표현은 직접적인 표현방식에서 벗어난 또 다른 의미와의 연계성,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것으로 대체해 주며 표현의 발전적 방법론을 콘셉트에 맞춰 효과적으로 제시해 준다. 시각언어의 요소를 파악하고 연상적·정서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인지적 접근이 요구되며 수용자의 입장에서 논리적인 핵심기능과 정보를 시각언어로써 접근해야 한다. 이 같은 내용에 따라 새로운 창조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적극적인 시각언어 생산이 필요하며 시각언어가 디자인의 시각적 아름다움으로써의 생산이 아닌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의미생산에 초점을 두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accelerated extension of media and flood of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importance of visual language which is a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rapidly-chang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ime should be recognized. As the production of visual language suitable for the time is required, this paper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 production of visual language as the core of the future-oriented added value. After examining the social roles,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visual language, the concept of design productivity was defin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ociety-deterministic design productivity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production environment, the cases of design production companies were reviewed. The visual expression based on design production replaces the connectivity with other meanings and something abstract with something concrete, getting out of the direct expression method, and also effectively suggests the developmental methodology of expression suitable for the concept. It would be required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visual language, and also to have a cognitive approach giving associative/emotional meanings. The logical core functions and information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visual language in the position of consumer. In order to create new creative values, more active production of visual language would be necessary. The visual language should be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systematic and specialized production of meanings, instead of the design production for visual beauty.

저자
  • 김진경(전남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 Kim, Jin Kyung
  • 남호정(전남대학교 디자인학과) | Nam, Ho J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