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약순응도의 효율화를 위한 의약품 용기 유니버설디자인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Design for Drug Container for Drug Compliance Efficien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846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6.47.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국민 전체가 사용하는 의약품 용기에는 매우 민감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향후, 고령화 인구의 증가와 인적교류의 이해는 다양한 외국인들이 국내에 생활하는 것을 대비하여 의약품의 복약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용기디자인의 준비가 필요로하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용기디자인에 필요한 유니버설디자인 7가지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연구 제안하는 것이다. 그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의약품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인 사용방법과 복약조건을 인지할 수 있도록 디자인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정확한 복약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려면 용기의 사용방법과 인쇄 및 표기를 통하여 가독성이 뛰어난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향후, 올바른 복약을 위해서는 IOT기술과 연계된 복약어플리케이션은 개발되어 활용방안도 고려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공통된 인지와 복약여부의 결과를 갖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따라서 복용량과 시간 등의 복약조건들에 대한 인지요소 등을 통하여 3차, 4차 복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복약순응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용기디자인의 조건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용기디자인은 외국인이나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정보전달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조건으로. 용기디자인을 할 때는 용기와 캡의 관계에서 정량배출과, 정시복용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균재질의 용기, 점자표기, 컬러인식표기, 약품 종류표기, 조제에 의한 약의 제제별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의 조건들과 방법들의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Drug containers used by people of all ages have sensitive contents. Due to the aging society and the increase in understanding in human interchange in the future, the need to prepare a container design for raising drug efficiency in preparation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is increasing. This study proposes a guideline on seven universal designs necessary in container design for resolving these issues through universal design. This guideline is as follows. The design requirements shall be met so that users of various drugs intuitively recognize the usage and medication conditions. It shall be designed to aid accurate drug prescription while preventing abuse of drugs. It shall satisfy high readability by printing and indicating the usage on container. The mobile application for medication for correct drug usage in association with IoT shall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utilization method. Through IoT, provide tertiary and quaternary information through auditory, tactile and visual cognitive components on medication conditions such as common recognition of various users, outcome of medication status, dosage and time to research and apply container design that will enhance drug compliance. The container shall provide divers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for foreigners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container design shall consider discharging of fixed amoun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ainer and cap and technical aspects of taking at fixed time.
Research on conditions and methods of design such as aseptic container, braille indication, color coding, drug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prescription drugs by formulation was conducted and respective outcome was proposed.

저자
  • 곽봉철(한국복지대학교 유니버설디자인과) | Kwak, Bong Ch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