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접근성과 장애유형을 중심으로 -

The impact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environment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4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600원
한국사회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접근성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유형별로 규명해 보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주거실태조사자료에 담긴 5,127명의 장애 인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에 입각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접근성 여부에 따라, 그리고 장애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 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외부장애인의 경우 일상생활능력과 일상생활환경 모두에서 접근성은 삶의 질 향상에 부분 매개효과를 구현하였다. 둘째, 내부 장애인의 경우 일상생활능력 은 접근성을 부분매개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으나, 일상생활환 경은 삶의 질에 대한 접근성의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료기관, 공공기관, 복지시설 등 일상생활 환경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나, 이에 대 한 접근성이 가지는 의미는 장애유형에 따라 상이함으로 접근성 을 제고하는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장애유형별로 대처방안이 달 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environmen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via accessi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The data of 2009 housing survey for the disabled was analyz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external disabled peopl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environ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Second, for the internal disabled peopl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iving environment direc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accessibility did not happen in this case.
The results of analysis imply that the policy emphasis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For the external disabled people,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should be emphasized, while the medical cure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internal disabled people.

목차
1.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삶의 질의 관계
  2. 장애인의 일상생활환경과 삶의 질의 관계
  3. 접근성의 매개효과
  4. 장애인의 삶의 질 : 건강상태, 경제상태, 전반적인삶의 질
  5.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과 분석방법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Ⅳ. 분석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주요 변수의 기술적 분석 결과
  3. 구조모형 분석
  4. 측정동일성 검증
  5. 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 일상생활환경과 삶의 질의인과적 경로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박능후(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NeungHoo Park 주저자
  • 구만서(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 ManSue Ko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