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자 중학생의 대인관계문제와 섭식문제의 관계에서 긍정반응경향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on the Associ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Eating Problems in Middle School Gir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6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연구의 목적은 여자 중학생의 대인관계문제가 섭식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이면기 제를 밝히고자 대인관계문제와 섭식문제의 관계에서 긍정반응경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대전 및 충청권에 거주하는 여자 중학생 712명으로부터 자기보고식 질문지 자료를 수집 하고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행하였다. 긍정반응경향이 대인 관계문제와 섭식문제의 관계를 매개하는 관계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Sobel 검증을 사용하 여 긍정반응경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연구모형(부분매개모형)에 비해 경합모형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더 양호하였다. 둘째, 대인관계문제와 섭식문제의 관계에서 긍정 반응경향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긍정반응경향이 매개변인으로 설정되면, 대인관계문제가 섭식문제에 직접 영향을 주기보다는 긍정반응경향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문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반응경향의 수준이 낮고, 긍정반응경향 의 수준이 낮을수록 섭식문제의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 중학생의 대인관계문제가 긍정반응경향의 감소라는 매개과정을 통해 섭식문제를 증가시킬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이미 섭식문제를 겪고 있거나 섭식문제를 겪을 위험에 놓인 여자 중학생들을 위한 개입과 예방 및 코칭 프로그램 개발에 가지는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rigger eating problems in middle school girl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12 7th~9th graders residing in Daejeon City and Choongchung D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eating problems. Firs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us, the direct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n eating problems was no longer significant after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was taken into account as a mediator.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lower the level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Then, the lower the level of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the higher the level of eating problems. The results imply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ay indirectly influence eating problems through the mediation of reduced positive responding tendency.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and coaching programs for middle school girls suffering from eating problems or those at risk for eating problem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저자
  • 신현숙(전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Shin, Hyeonsook
  • 이해경(숭실사이버대학교 청소년코칭상담학과 교수) | Lee, Haeg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