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군신화의 교육학적 재해석 KCI 등재

Reexamination of Educational Meaning in Dangun Myt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76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글은 단군신화를 기존의 교육학자들이 선택한 시각과 조금은 색다른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교육이념으로서 홍익인간의 정당성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인 간관과 가치관을 제시하고, 또 신화적 사고방식이 교육과 정치와 종교를 구분하지 않은 데 착 안하여 미분화된 상태로서 교육의 의미를 설명하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단군신화에 내포되어 있는 교육의 중요한 측면들이 해명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신화적 세계관을 수용하는 것과 그것 을 학문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것은 구별되어야 한다. 교육을 교육답게 해명하려면 교육과 교육 아닌 것을 혼동하거나 제도적 사실로 파악하는 일상적인 인식태도와 일정한 거리를 두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접근방식은 이런 원칙을 충실히 따르지 않음으로써 신화연구에 필요한 학문 적 요건에서 다소 멀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다시 그 요건을 따라 기존 해석에서 간과되거나 은 폐된 단군신화의 교육적 측면을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단군신화에서 등장하는 환 웅과 곰은 그 사이에 가로놓인 존재적 격차를 역이용하는 독특한 상호작용을 전개함으로써 그 격차를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교육적 관계의 특징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지 단 군신화에서 볼 수 있는 교육의 일단을 드러낸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 교육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일어날 필요가 있다.

The educational research on Dangun Myth has been conducted on the common sense view that education equals with schooling. Instead of generating its own concepts and theories, it tends to depend on such heterogeneous disciplines as history,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etc. But this line of research fails to explore education as universal, omnipotent mode of life. It can hardly incorporate education in and out of school. Furthermore, neither can it integrate such heterogeneities into a homogeneity, mainly resulting in confusion of educational context, distortion of educational facts, and instrumentation of educational process. This study is one of the new attempts to reverse the traditional trends and to establish educational science as an autonomous discipline. It assumes education to be unique mode of life, conceptually separable from other areas and then under the assumption explores its clear boundary with a structural perspective. With this purpose I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wanwoong and Woongnyu, the superior from heaven and the inferior from earth. They showed two kinds of transformational activities on the parts of main figures in the story, “upward transformation” and “downward transformation”, each assuredly corresponding to learning and teaching respectively. The interactional activities between the two are found to be an educational relationship with three steps, formative, continuative, and conclusive in a timely sequence. This finding is quit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tend to interpret the myth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for the perfect human being pursuing the absolute form of knowledges in school. The structural analysis instead reveals the new facts that they in actuality interact cooperatively for educational purposes. Although many important aspects of education might remain untouched due to lack of imagination in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is kind of work is worth attempting and should be continued.

저자
  • 최성욱(한국교원대학교) | Choi, Sung 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