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수오의 우량종묘 생산을 위한 담액수경(湛液水耕) 육묘시 종묘 크기와 양액의 종류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In vitro Seedling Size and Different Nutrient Solutions in DFT(Deep Flow Technique) System for Good Quality Plant Production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4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는 여뀌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자생하고 있다. 하수오는 관상용으로도 이용되며, 한의학에서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월동 이 어렵고 노동력 소모가 많아 최근 재배농가가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오의 우량종묘를 짧 은 시간에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수경재배에 적합한 양액과 조직배양묘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토양에 적 응이 완료된 하수오 종묘는 크기에 따라 Type 1, Type 2 및 Type 3으로 나누어 4종류의 양액에 치상 하였다. 치상 후 양액과 종묘에 따른 생육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다. 생육조사는 8주 동안 양액에서 생육시킨 후 줄기길이, 잎 수, 마른 잎 수, 줄기 수, 생체중과 건물중에 대해 측정 하였다. 그 결과 양액3에서 Type 1과 Type 2의 뿌리길이는 각각 33.8cm와 29.5cm로 각각 나타났다. 이와 유사한 경향으로 덩굴 길이도 CaCl2가 첨가 된 양액3에서 Type 1과 Type 2가 가장 길게 나타나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이처럼 뿌리가 증대된 종묘는 밭으로 이식 될 때 활착을 도와 우수한 초기생육 을 나타낼 것이라 사료된다. 반면 Type 3는 잎끝마름과 고사하는 현상을 보여 추후 양액의 적정농도에 대한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Polygonum multiflorum Thunb. is a herbaceous plant of Polygonaceae and distribution on East Asia and North America. P. multiflorum is used as horticultural crops and root is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But recently, farmhouse is reduced because difficult overwintering and a lot of labors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have focused on investigation of suitable to seedling size and nutrient solution in deep flow technique system for mass production good seedling of P. multiflorum. The environmental acclimatization seedling was classified as Type 1, Type 2, and Type 3 according to the size with sowing in four nutrient solution. Growth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growth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ize of seedling and nutrient solutions. Growth experiment was measuring the stem leng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dead leaves, number of stem, fresh weight, and dry weight growing after 8 weeks. As a results, root length of Type 1 and Type 2 were 33.8 cm and 29.5 cm at NS3, respectively. Similarly, vine length of Type 1 and Type 2 were best grown up from the NS3 with CaCl2. These results were considered that seedling of enlarged root was effective on the early stage of growth by helping the rooting in the field. On the other hand, it was happened as tip burn and withered on leaf in Type 3 case and it might be required additional experiment for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저자
  • 이가연(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Ka Youn Lee
  • 민지윤(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Ji Yun Min
  • 최지은(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한의생명과학전공)
  • 문병철(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 Byeong Cheol Moon
  • 강영민(한국한의학연구원 K-herb 연구단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한의생명과학전공) | Young Min K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