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의 효과에 대한 자부심의 매개역할과 자기본위적 동기귀인의 조절효과 KCI 등재

The Mediating Role of Pride and the Moderating Role of Egoistic Attribu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Outcomes of CS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771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7.24.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 성과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주로 기업의 재무적 성과나 이해관계 자의 반응, 그리고 제도와 조직수준에서 이루어져 왔으며, 일부 개인수준의 연구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과 종업원 반응 간의 직접적인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와 같은 한계에 착안하여 이 연구에서는 이론 및 선험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과 종업원들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가 자 부심의 지각에 의해 효과적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나아가 사회적 책임수행에 대한 지각이 자부심에 미치는 효과는 사회적 책임수행의 동기에 대한 순수성이 의심될 경우, 즉 자기본위적 동기로 지각될 경우 약화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실증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부심은 법적 책임 및 윤리적 책임과 결과변수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책임 및 자 선적 책임의 경우에는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결과에 따를 경우 경제적 책임의 경우 를 제외하고 모든 사회적 책임수행영역에서 자기본위적 동기 귀인의 조절효과가 지지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에서 실증분석의 결과가 지니는 의미와 한계,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In spite of a lot of researches regarding CSR, majority of articles address the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levels of analysis, and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adopting an individual approach. Moreover, few studies has focus on the effective mechanis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CSR and outcomes of CSR. In these respect, the effects of 4 dimensions of CSR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tudied. In particular, the roles of pride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CSR and outcomes of CSR were examined, and the role of egoistic attribu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4 dimensions of CSR and employees’ pride was also examine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10 firms.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employees’ prid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gal/ethical responsibilities and outcomes of CSR. However, the mediating role of pride between economic/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and outcomes of CSR were not accepted. Consistent with hypothesis, the effects of CSR on employees’ pride were weaker when employees perceived the motives of CSR as egoistic on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discussion and conclus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연구동향
  2.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자부심의 관계
  3.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관계에서 자부심의 매개효과
  4. 자기본위적 동기귀인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표본설계
  2. 변수의 측정 및 평가
 Ⅳ. 실증분석
  1. 개념 간 상관관계
  2. 가설검정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저자
  • 강갑주(경영학박사) | Kang Gab Ju 제1저자
  • 이경근(순천대학교 경상학부 교수) | Lee Kyung Geu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