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를 통한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a Bathroom for Wheelchair Users Through a Usability Te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7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전면진입착석(front-entry sitting)형 화장실 개발에 따른 사용성 평가를 통 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약자나 장애인이 실제 현장에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촉진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와 정책적 입안을 통한 보급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20∼24세 남녀대학생 40명을 체격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하여 선정한 후 전면진입착석 화장실 구성요소(좌변기, 손잡이, 세면대 등)들에 대해 피실험자가 자신의 체격에 따라 편리하고 안전한 위치를 조절하며 용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관찰하고 측정하였다. 측정된 치수는 극단치설계(design for extreme individuals)원칙을 적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최종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고 이에 대해 전체 피 실험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 본 연구는 전면진입착석형 화장실을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개발 개념에서 접근하여 사용자가 직접 개발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전면진입착석형 화장실에 대한 사용성 평가결과, 리커트 5점척도 중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화장실로서의 적합성은 평균 4.40점, 휠체어 사용자에 대한 추천성은 4.25점, 사용상 편이성은 4.15점 순으로 긍정적 인 응답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전면진입착석형 화장실이 보급되면 휠체어 이용자의 편이성과 안전성 증진뿐만 아니라 화장실 공간 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휠체어 사용자가 개인 위생상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함으 로써 휠체어 장애인의 자존감 향상과 이를 통한 사회적 참여를 증진시키며 이의 도입은 국가 정책적 차 원의 추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ore comfortable and convenient user interface that can be used in a front-entry sitting bathroom for wheelchair users, as determined through a usability test. It aims to promot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wheelchair users and contribute to a revitalization of diffusion through associated research and policies. Methods : Forty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20 to 24 years in age, who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size, were selected to monitor and measure the appropriate dimensions while using a front-entry sitting bathroom, including various components, in a convenient and safe manner. The principle of design for extreme individuals for the measured dimensions was applied to develop the final prototypes, and thereafter conduct usability tests on the subjects. Results : The front-entry sitting bathroom was developed by appling a user-centered approach to facilitate the use of wheelchair users.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were considerably positive in terms of convenience, appropriateness, recommend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bathroom. Conclusion : The availability of a front-entry sitting bathroom was shown to be a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wheelchair users, as well as reduce the existing bathroom space. It can also improve their self-esteem by allowing wheelchair users to solve their own hygienic problems and thereby facilitate social participation. Efforts are required to adopt and distribute the developed bathroom, and it is recommended to push forward with this project on a national policy level.

저자
  • 김희동(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Hee-Dong
  • 오명화(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Oh, Myung-Hwa
  • 백지영(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Baek, Ji-Young
  • 정현애(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ung, Hyun-Ae
  • 정경아(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ung, Kyoung-A
  • 전향진(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eon, Hyang-Jin
  • 박제모(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Park, Je-Mo
  • 정화식(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ung, Hwa-Shi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