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편측 무시 환자를 위한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Intervention of Neglect for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7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편측 무시 개선을 위한 치료 기법의 형태와 다양한 접근법을 분석하여 임상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0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해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Scopus, PubMed Central과 MEDLINE를 통하여 검색하였으며, 주요 검색용어는 “Stroke or cerebrovascular accident or CVA AND Neglect or visuospatial neglect or hemisphere neglect AND Intervention or rehabilitation” 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7개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의 질적 수준 및 동향, 중재의 제공 방법, 중재의 종류, 중재의 효과, 대상자의 회복 단계, 편측 무시 평가 도구, 동시에 측정된 종속변인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의 질적 수준은 가장 높은 Ⅰ 단 계를 나타내고, 논문의 편수와 질은 증가하고 있는 양상이며, 중재는 2가지 중재를 결합한 결합 중재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결합 중재 연구에서는 시각 탐색 훈련과 과제 지향적 훈련이 결합된 중재와 상 상 훈련과 전기 자극이 결합된 중재에서 편측 무시 증상 개선에 통계학적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편측 무시를 대상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실시되었고, 평가 도구는 선 지우기 검사 와 별 지우기 검사를 가장 많이 시행하였으며, 연구자들은 편측 무시와 동시에 ‘일상생활의 기능적 독립 성’을 측정하였다.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편측 무시 개선을 위한 중재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 현황을 종합 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임상의 치료사들이 대상자의 회복 단계에 따라 중재와 빈도, 평가 도구를 선택하는데 근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intervention ameliorating the neglect of stroke patients, and to provide evidence and implications regarding their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For the main key-words of a database search, “Stroke or cerebrovascular accident or CVA AND Neglect or visuospatial neglect or hemisphere neglect AND Intervention or rehabilitation” were used.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5, using Scopus, PubMed Central, and MEDLINE. A total of 17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e level of quality and trend for each study, the type of interventio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stroke patients’ recovery stage, applied tools, and dependent variables measured based on neglec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uch studies and the combinations of intervention are increasing. For the combinations of intervention studies, combinations of visual scanning training and task oriented training, mental practice, and electrical stimul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meliorating neglect. In addition, the interventions were mostly provided on stroke patients at a chronic stage. The ‘Line bisection test’ and ‘Star cancellation test’ were most frequently used, and ‘functional independence in ADL’ was consistently measured with neglect. Conclusion :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were able to find and understand the trend of intervention for neglected stroke patients. This systematic review is expected to help select the proper intervention, frequency and intensity, and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troke stage of the individual.

저자
  • 고석범(로이병원 작업치료실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o, Seok-Beom
  • 김주희(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Kim, Ju-Hee
  • 박혜연(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Hae Ye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