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제지향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및 직무능력,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Task-Orient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on Hand Function and Job Competency and Generalization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27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손 기능 및 직무능력,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기간은 2016년 4월 4일부터 6월 24일까지로 하였고, 연구 대상은 G광역시 E복지관을 이용 하는 성인 지적장애인 4명으로 하였다. 연구 설계는 개별대상연구 중 행동간 복수간헐 기초선으로 하였 다. 중재는 대상자들이 선택한 직무에 따라 기초능력, 직무능력, 일반화 과정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시행 하였고, 12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다. 매 회기의 과정이 끝날 때마다 기초능력에서는 파악력, 기민성, 양손조작력을 직무능력에서는 스트링 조립 완성 개수와 정확도를 일반화에서는 팔찌 만들기 완성 개수 와 시간,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과제지향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직무에 필요한 기초능력으로 손 기능을 증진시켰고, 직 무분석을 통한 과제를 반복 훈련함으로써 직업을 획득하고 유지하는데 요구되는 직무능력과 일반화를 향상시켰다. 결론 :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직무에 영향을 미치는 손 기능 및 직무능력, 일반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기 에 직업재활 프로그램으로서의 사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task-orient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hand function and job competency and generalization for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Methods : The study period was April 4 through June 24, 2016, and the subjects were four adul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ho use the E welfare center in G. City. The study design was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the behaviors of single subject research.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stages, i.e., basic competency, job competency, and the generalization process, for 50 min, two times a week, during a 12 week period. For the basic competency process, the grasping power, dexterity, and bilateral hand manipulation; for the job competency process, the number of finished strings and their accuracy; and for the generalization process, the number of finished bracelets, finishing time, and accuracy were all measured after the every session. Results : Their hand function and basic job performance were improved through the task-orient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In addition, their job competency and generalization, which are required to hold and maintain a job, were improved through repetitive training of tasks conducted through a job analysis. Conclusion : The program worked effectively on the hand function, job competency, and generalization, all of which affect one’s job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use of such a program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저자
  • 황민지(광주대학교 대학원 생명보건학과) | Hwang, Min-Ji
  • 방요순(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Bang, Yo-Soon Corresponding author
  • 손보영(빛고을 전남대학교병원 작업치료실) | Son, Bo-Young
  • 오은주(동아보건대학 작업치료과) | Oh, Eun-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