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very Resilience, Depressions, and Self-Esteem in University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0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인간의 삶에 있어 사고 및 환경의 변화를 대할 때, 혹은 새로운 환경의 적응과 어려움이 있을 때 인간에게 있어서는 선택을 하는 순간이 오게 된다. 많은 문제와 어려움의 시기에 우울이나 부정적인 감정과 함께 이는 다양한 종류의 또 다른 문제의 시발점이 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선택으로 개인의 자아성장이나 다른 자원의 발견 및 스스로에 대한 힘과 에너지를 통하여 새로운 방향으로의 생각과 깊이 있게 다른 사람과 다양한 문제들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경험할 수도 있다. 대학생 시기는 사회에 나가는 첫 번째의 시기로 그 어느 때보다 삶의 반경이 넓어질 수 있으며, 스스로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여러 본인에게 있어서의 위기 상황에서 어 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하여 알게 될 수 있는 시기이기에 중요하다. 이에 대학생의 우 울감 및 자아존중감 또한 이러한 어려움에 대하는 자세인 회복탄력성에 대하여 알아보 고자 한 결과, 회복탄력성은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에 의미있게 나왔으며, 우울은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 부분에서 모두 매우 낮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남성이 여성보 다 더 높았으며, 연령으로는 회복탄력성의 대인관계 능력과 우울감의 인지적, 동기적 우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대인관계능력에 의미 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의 자기조절능력은 자아존중감과 관계가 있었으며 자기조절능력 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며,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아짐으로 이를 통하여 위기나 다양한 상황에서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과 긍정성을 키우는 것 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대학에서의 대학생들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자기조절능력이나 긍정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상담 방법의 활용 및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People face accidents and challenging times, and have to adapt to new environments, thereby having difficulty in their lives and forcing them to choose one way and another. In trying times with many problems and difficulties, people may be emotionally depressive and negative, thereby starting to suffer diverse kinds of yet different problems. People can also choose a different thing, achieve self-growth or find different values, so as to energize themselves and differently and deeply think of problems and others in different direction. University days is the time for preparing for entering the society, so university students can importantly have a variety of life, think of their future, including possible crises ahead. Thus, this study examined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 depressions, self-esteem, and recovery resilience against such difficulty, revealing that the recovery resilience was a significant in terms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positivity, and that the depressions were all low in terms of emotional, cognitive, motivational and physiological aspects. Self-esteem was higher with men than with women; by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ability in recovery resilience, and in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depressions in depression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ability. Self-control in recovery resilience was closely related to self-esteem; the greater self-control further boosted self-esteem. Further, the grater self-control further lowered depressions. This suggests that, in response to crisis or diverse challenging situations, fostering of selfcontrol, self-esteem and positivity helps boost recovery resilience. Thus, there is a need to use diverse counseling methods and programs which help foster self-control and positivity which greatly influence university students' lives.

저자
  • 최명주(오산대학교 실용사회복지전공 부교수) | Choi, Myeng 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