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안약자 노인의 범죄두려움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모색 - 다층모형을 활용한 개인과 지역수준의 영향요인 분석 -

A Study on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to Reduce the Fear of Crime Among the Elderly Vulnerable to Public Order -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at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with a multi-level model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1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치안 약자인 노인의 범죄두려움의 수준과 범죄두려움에 관한 이론을 근거로 치안 약자 노인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결과에 따라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형사정책연구원과 통계청에서 공동으로 [국민생활안전실태조 사]로 조사된 󰡔전국범죄피해조사󰡕(김은경 외, 2014)의 원자료를 갖고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자가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결측값이 있는 응답자는 제외되어 총 13,317명 중 7,877명이 전체응답자로 사용되었고, 그 중 치안약자인 노인은 1,38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노인과 비노인의 집단 간에 범죄두려움이 차이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t-test)을 사용하였고, 범죄두려움에 대한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의 변량이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HLM으로 변량분석(ANOVA)과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보고자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전체응답자의 개인적 범죄두려움(평균 2.56점) 보다 노인의 개인적 범죄두려움(평균 2.18점)이 낮게 나타났으며, 오히려 비노인의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범죄두려움에 관한 이론에 근거하여 사용된 변수들을 모두 회귀식에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 개인수준 변수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았고, 학력과 취약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 타났고, 이때, 표준화 회귀계수의 값은 취약성인식(β=0.323), 성별(β=–0.169), 학력(β =0.101)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수준 변수에서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증가할 때,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안 약자인 노인의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해 여성 노인에 대한 범죄 예방활동이 필요하고, 사회적 무질서를 낮추기 위해서 거리를 방황하는 불량 청소년에 대한 거리이동 상담서비스, 술에 취해 누워있는 노숙인과 만취자에 대한 안전지원 서비스 등과 지역유대를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 조직화사업, 공동체 운동, 더불어 사는 마을 만들기 사 업 등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해서 치안감시, 시민감찰 등의 지역사회경찰활동 등에 사회복지적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셉테드(CPTED)가 형성될 수 있도록 파트너쉽 형성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crime among the elderly vulnerable to public order based on their fear level of crime and theories on fear of crime and search for ways to mak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based on the raw data of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Kim Eun-gyeong et al., 2014) jointly condu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s part of Survey on People's Living Safety. After the exclusion of respondents whose missing values were found for the variables used by the investigator, 7,877 of total 13,317 made the entire respondent group. Analyzed in the study were the data of 1,382 old people that were vulnerable to public order. Collected data were put to the independent-sample t-test to examine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between the elderly group and the non-elderly group, ANOVA based on HLM to figure out the size of fear of crime variants at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and multilevel analysis to what were main factors.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fear of crime of the elderly(mean 2.18 points) was lower than that of entire respondents(mean 2.56 points) with the non-elderly group exhibiting a higher level of fear of crime. Secondly, all the used variables were put in the regression equation based on the theories about fear of crime, and the results show at the individual level that women had higher individual fear of crime than men and that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perceptions of vulnerability led to higher fear of crime. Here, the standardization regression coeffici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vulnerability perceptions(β=0.323), gender(β=–0.169), and educational backgrounds (β=0.101). At the community level, individual fear of crime ros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social disorder and number of businesses. Those findings raise a need for measures to reduce the fear of crime among the elderly that are vulnerable to public order including activities to prevent crimes against female senior citizens, services to decrease the social disorder such as the mobile counseling service for juvenile delinquents wandering along the streets and the safety support service for the homeless that lie around drunk and the fully drunken people, and projects to increase community ties such as a community organization project, community movement, and project of making a town for people to live together.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form partnership to establish CPTED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community policing activities such as public order monitoring and citizen inspection and social welfare programs in order to prevent crimes and lower the fear of crime in the community.

저자
  • 오봉욱(국제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실습전담교수) | Oh, Bong-Yook
  • 조상윤(국제사이버대학교 보건복지행정학과 교수) | Cho, Sang-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