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Multi-cultural Education Expressed in The “Society” Textbooks of Junior High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1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중경제문화연구 (Korea-China Economic & Cultural Review)
한중경제문화학회 (Korea-China Economic & Cultural District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 시대에 적합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국가, 인종(민족 포 함), 종교, 사회계층, 연령, 성별, 장애를 분석기준으로 한국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 5종, 10권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국가와 인종 다양성의 차원에서 세계 범위의 국제이해교육과 국가 내의 다문화이해교육을 동시에 강조하였다. 한국 내의 다문화교육은 국 적, 인종, 민족이 다양한 이주민의 증가 현상을 중심으로 설명되었고, 그들에 대한 배려교육과 이해 교육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다문화교육은 글로벌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어느 정도 지향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다문화이해교육의 수준에 해당하며, 공존, 평등, 정의를 추구하는 글로벌 다문화교육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을 선 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시하면, 첫째, 다문화교육은 국가, 인종, 민족, 종교, 사회계층, 연령, 성별, 장애 등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이해교육의 수준을 넘어서 다문화이해를 바탕으로 공존, 평등, 정의를 추구하는 글로벌 다문화교육으 로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은 특정 단원·주제에 추가적으로 다루어지는 기여적 접근과 부가적 접근을 넘어서 학교지식이나 주루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강조하는 변혁적 접근과 이의 비 판적 실천으로 강조하는 사회적 행동 접근으로 나아가야 한다. 넷째, 다문화교육은 이주민을 소수집 단과 사회적 약자로 범주화하여 다루는 방식을 지양하고, 차이와 다양성이 존중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In this study Korea's “Society” textbooks of junior high school were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multicultural education suitable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Analytic scheme of this study on cultural diversitiy consists of seven categories: country, race (including ethnic), religion, social strata, age, gender, and disabilit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re used. Analytic range is units and subjects of culture wher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re mainly dealt with. The analysis are focussed on types of cultural diversities and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escribed around the country and ethnic diversity, and emphasized the worldwid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th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within a country.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Korea was explained around a phenomenon of the increase of immigrants that nationality, race, ethnicity, emphasizing car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m. Such multicultural education of Korea is limited to reflect on the perspective of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to some extent. However, it failed to go beyond the dimension of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to get to the dimension of the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can be made for the fu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Korea: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reflect cultural diversities covering race, ethnicity, religion, social strata, age, gender, disability in a broad sense.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ake progress towards the view of global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pursues coexistence, equality and justice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move towards transformation approach and social action approach, rather than contribution approach and additive approach where multicultural education is dealt with in addition to the specific section or subject. Fourth, differences and diversities of immigrant groups should be respected instead of categorizing them as minority groups or the socially weak.

저자
  • 蔡春梅(讲师, 山东师范大学 韩国语系.) | Cai, Chunme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