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조선족 희곡에 반영된 역사적 傷痕과 상상력의 기록물로서 문학적 글쓰기 KCI 등재

historical scars reflected in drama by Chinese-korean playwright and the literary writing as a record of imagin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1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조선족은 중국 역사의 격변을 함께 치루면서 생존했다. 물론 그 과정에서 그들은 역사적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각종 희생과 고난을 경험해야 했다. 특히 일본의 침 략, 한국의 6.25전쟁과 항미원조는 대표적인 역사적 사건에 해당한다. 이러한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조선족은 생존을 위한 선택을 강요받았다. 훗날 조선족 작가들은 이러한 역사와 생존 의 현장을 제재로 선택하여 작품을 집필했다. 그 중 조선족의 희곡에는 이러한 역사의 격변 과 생존의 문제가 수용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조선족 희곡에 수용된 역사적 상처와 기 록으로서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황봉룡, 최정연 그리고 김훈은 이러한 역사적 순간을 포착하고 억압된 의미를 살려내는 것에 역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그들의 희곡에 담 긴 역사의 상처를 해석하고 기록으로서의 조선족의 희곡을 살펴보고자 한다.

Chinese-korean people survived the upheaval of Chinese history. Of course, in the process they were forced to suffer historical injuries. As a result, they had to experience various sacrifices and sufferings. In particular, the invasion of Japan, and Korean War of 6.25(the Anti-American aid) correspond to these representative historical events. Whenever these historical events occurred, Chinese-korean people in China were forced to make choices for survival. Later, playwrights from Chinese-korean people chose this history and survival site as sanctions and wrote the works. Among them, the plays of Chinese-korean people were forced to accept the problem of survival and the upheaval of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historical injuries and records in dramas written by Chinese-korean playwright. Hwang Bong-ryong, Choi Jeong-yeon and Kim Hoon focused on capturing these historical moments and reviving the oppressed mean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interprets the scars of history contained in their plays and examines the plays of the Korean ethnic groups in china as recorded literatures.

저자
  • 김남석(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Kim, Nam-Seok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