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역사문화를 통한 도시 정체성 재구성 ― 중국 古都 카이펑을 중심으로 KCI 등재

Study on Reconstruction of urban identity through culture : Focusing on the Ancient City of Kaife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2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최근 중국의 고도들은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산업 개발에서 도시발전의 돌파구를 찾 고 있다. 고도 카이펑은, 도시의 공간적 기획과 각종 문화생산물의 결합을 통해 도시 정체성 을 재구성하고 도시 정체성 자체를 경쟁력 있는 문화상품으로 전시하는 새로운 시도를 전개 하고 있다. 카이펑은 ‘문화를 활용한 경제활성화’의 전략을 선택하면서 도시문화 자체를 경쟁 력 있는 콘텐츠로 생산하고 이를 통해 카이펑의 도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환해나가고 있 다. 카이펑은 도시 경관과 문화예술을 전면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략으로 청명상하원 등의 공간 기획을 추진하였고 <대송·동경몽화>라는 실경공연 예술을 제작하였다. 청명상하원, <대 송·동경몽화> 등은, 카이펑의 역사문화에서 대표적이고 효과적인 문화기호로 선택되어 도시 의 문화브랜드로 재구성된 것들이다. 카이펑은 이런 문화테마공원과 실경공연을 통해 관광과 문화가 도시 정체성이라는 장(場) 안에서 성공적으로 결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시를 만 들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 카이펑을 중심으로 각종 문화생산물을 통해 도시 기획과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verall directivity and one aspect of the future images of the Chinese citie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es and strategies for rebuilding their urban identities and re-urbanizing themselves through their cultural policies and projects after the 2000s. The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by which city planning and identity are reconstructed through all sorts of cultural outcomes,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expecially no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outcomes as a simple representation of the urban reality. To meet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the ancient city of Keifeng. While selecting for the strategy of ‘revitalizing the economy by using culture’, the city is producing its urban culture itself as a competitive content, and through this, is modifying its urban image into a positive one. The city developed the space planning project such as Qingmingshangheyuan as a part of the strategy for completely combining its urban landscape with its cultural art, and produced an actual-view performance art called Dasong·Dongjingmenghua. They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and effective cultural symbols in its history and culture, and is expected to be reorganized as one of its cultural brands. Through such cultural theme parks and actual-view performances, the city is on its way to making a new paradigm where tourism and culture are successfully combined in the space of the urban identity.

저자
  • 박정희((전) 경성대학교 글로벌차이나연구소 연구원) | Bark, Jeong-He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