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과교실제가 일반계고등학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KCI 등재

Effects of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on Achievement in General High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24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정책 실시 후 실증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 효과를 정확하게 검증하는 것이 정책 발전 측면에서 필요하다는 관점 하에, 교과교실제 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평준화 지역의 일반계 고 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학교정보공시, 교육통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자료를 연계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2010∼2012년 국가수준 영어, 수학, 국어 학업성취도 점수를 종속변인 으로 하여 3-수준 다층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교실제의 효과는 영어 교과에서 유 의미하게 나타났다. 같은 학교 내에서 교과교실제를 운영한 시기가 운영하지 않은 시기보다 영 어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그런데, 이러한 교과교실제의 효과는 정책의 고유 효과라기보다는 교 사 1인당 학생 수, 수업교원의 주당 평균 수업시간, 수업교원의 평균연령, 초빙교원 비율 등과 같은 수업 여건 및 교사 상황을 매개하는 간접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는 교과교실제의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교사 1인당 학생 수, 수업교원 평균연령, 초빙교원 비율의 변화에 따른 학생의 국어 학업성취도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수학에 대해서는 교과교실제 실시 여부에 따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교실제 정책이 유의미하게 현장 에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책 실행에 수반되는 제반 여건과 교사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하고, 그 제반 여건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 동시에 수반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ffects of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on achievement in general high school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cause the effects. For this purpose, data derived from School Information System, Korean Education Statistics, and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were linked to carry out 3-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Data were limited to 98 general high school which located in Gyeonggi-do. As a result,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English achievement. Within the same school, English achievement score was higher in the year that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was applied. However direct effect of the policy was not found, only mediated effect by school conditions, such as student-teacher ratio, weekly teaching hours per teacher, teachers' average age, percentage of invited teachers. Regarding Math achievement, both direct and mediated effects were not found. With respect to Korean achievement, there was no effect of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However, school condi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These results shows that improvement on overall school conditions could make positive effects on English and Korean achievement. It suggests that in applying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the focus should be on improving school conditions not on expanding the policy itself without deep consideration.

저자
  • 박성호(한국교육개발원) | Park, Sung-Ho
  • 신철균(한국교육개발원) | Shin, Cholkyu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