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내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Experiences in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2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단위학교 내 동학년을 기반으로 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초등교사들의 교 육과정 실행 경험의 양상을 질적 연구 방법 중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하여 이해하고, 단위학교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정책에 대한 요구를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한 내부자적 관점에서 탐 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총 14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이 이루어졌다. 연 구 결과 참여자들은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공동 연구–공동 실천의 순환 구조라는 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준 맥락적 조건으로 교육정책의 변화, 학교 상황이, 전문적 성장에 대한 욕구와 협력의 필요성 발생은 현상의 인과적 조건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역할과 지원적 환경, 구성원 특성 및 배정, 의사소통과 공동의 목표, 자발성과 자율성, 교사 협력과 같은 중재적 조건의 속성과 차원은 그 양상에 따라 교사들의 경험을 방해하거나 촉진시켰고, 참여자들은 인식 및 태도 형성하기, 시도 및 조정하기, 극복 및 유지하기의 경험의 과정 속에서 운영 및 참여 전략, 역할 분담 전략, 수업 실행 전략, 정의적 영역 전략을 활용하 여 수업 동료성 구축, 교육과정 역량 동반 성장, 함께 연구하는 학교 문화라는 결과를 경험하 였음이 드러났다. 개방 코딩 단계에서 발견된 범주 사이의 관계를 반복적 비교 분석한 결과 협 력적 교수 실천에 관한 반성적 논의 구조 형성하기라는 핵심 범주를 설정하였으며, 핵심범주와 근거자료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경험 유형을 핵심 리더형, 적극적 협력자형, 소극 적 적응자형, 비판적 주변인형이라는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 로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가 지속가능성을 갖기 위한 교사 수준, 단위학교 수준, 지역 수준, 국가 수준의 지원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lm implementation experiences in an In-School-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is formulated. 1. How is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an In-School-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finding out answers to above research question, a grounded theory that is one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was performed. The specific methods utilized were intensive interview,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related materials. The research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in open-coding,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of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tried and finally 70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In axial-coding stage, category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paradigm model and the process analysis was tried by the time flow. Based on the central phenomenon named ‘collective research - circulation structure of collective practice’ as a result of the category analysis, ‘needs for professional growth’ and ‘necessity of cooperation’ appeared as causal conditions.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change of education policy’ and ‘school situation’. Intervening conditions were ‘the role of principal and supportiv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assignment of members’, ‘communication and common goal’, ‘spontaneity’ and ‘autonomy’, and ‘teacher cooperati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n the central phenomenon were ’operation and participation strategies’, ‘role sharing strategies’, ‘instruction implementation strategies’, ‘affective domain strategies’, ‘instruction collegiality formaton’ and ‘competenc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s growth’, and ‘school culture to study together’.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alysis, successive connections according to the flow of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appeared in three stages of ‘recognition and attitude formation’, ‘attempt and adjustment’, and ‘overcoming and maintenance’.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and flow of teachers' ability to perform curriculum through cooperative teacher learning of In-School-Teacher Learning Community. Finally, in selection coding, it was discovered a core category of ‘constructing a reflective discussion structure on teaching practice’ through the outline of the story and moving forward together with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capacity.

저자
  • 박민선(경남 창원초등학교) | Pak, Min Seon
  • 최성욱(한국교원대학교) | Choi, Sung Woo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