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전 계획 활동이 EFL 학습자의 교실 공개 구두 발표 불안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Prior Planning on EFL Learners’ Speaking Anxiety in Clas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2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사전 준비활동이 EFL 학습자의 교실 공개 구두 발표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 였다. 이는 언어적 지식 (language knowledge)의 준비는 제 2 언어 학습자의 자신감을 높여 정서 적 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한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들은 4 주 간 (1) 스피치 모델 읽기 (reading a model text), (2) 스피치 초안 쓰기 (writing a draft), 그리 고 (3) 구두 연습 리허설하기 (rehearsing for oral practice) 등 세 가지 사전 준비활동을 수행하였 다. 사전 준비활동 전 후의 교실 공개 발표 불안 정도의 차이는 PSCAS (Public Speaking Class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네 가지의 불안 구성요소에 대해 비교하였다: ‘test anxiety’(TA: 시험 불안), ‘communicative apprehension’(CA: 전달 불안), ‘fear of negative evaluation’(FNE: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comfort of using English’(CUE: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 결과 분 석에 의하면 사전 준비활동은 네 가지 구성요소의 구두 불안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특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영어 사용에 대한 편안함’에 있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결 과를 가져왔다. 이는 ‘reading a model text’ 및 ‘writing a draft’ 등의 사전 준비활동 중에 이루 어지는 교사 및 동료와의 상호 피드백을 통한 언어적 지식 스캐폴딩으로 인한 학습자의 자신감 이 상승하고, ‘rehearsing for oral practice’활동으로 인한 발표연습 기회,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서 이루어지는 친밀함의 관계형성이 동료 및 교사에 의한 평가 불안을 완화하고 이전 보다 편안 하게 영어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discover whether prior planning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 on EFL learners’ anxiety of oral performance in front of the class. Based on the effect of pre-task planning on linguistic features shown by previous researchers, the present study expanded the positive role of prior-planning in language use on public speaking anxiety in L2 classroom contexts. For the study, three types of planning activities were adopted: reading a model text, writing a draft, and rehearsing for oral practice. The change of speaking anxiety between pre and post planning activities was measured by using the public speaking class anxiety scale (PSCAS). The results revealed that overall the prior planning activities benefited by lessening debilitating L2 speaking anxiety in front of the class. The anxiety level of both components, ‘comfort of using English (CU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NE)’ were significantly lessened, while the anxiety levels in ‘test anxiety (TA)’ and ‘communicative apprehension (CA)’ were slightly decreased after the planning activities. This positive effect of prior planning seemed to be attributed to collaborative scaffolding in language use by reading and writing, more opportunities for oral practice by rehearsing and favorable atmosphere built with mutual understanding during the planning activities. (Dankook University)

저자
  • Park Eun(Dankook University) | 박 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