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조사 KCI 등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Demand of the Pre-Parent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6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이 연구는 올바른 부모됨 준비와 부모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하여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과 예 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교육현장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에 거주하는 예비부모와 부모 274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 였으며, 결혼여부와 자녀유무별로 예비부모교육 인식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결혼여부와 자녀유무에 따른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은 카이스퀘어 검정을, 프로그램 요구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올바른 부모됨과 부모역할에 따른 예비부모교육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자기이해, 임신과 출산, 정규과정으로 하는 것에, 결혼여부와 자녀유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부모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는 임신과 출산, 자녀양육 영역에서 결혼여부와 자녀유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대상에 따른 세분화된 맞춤형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 중 교육을 받지 못한 경우가 ‘예비부모교육이 있는지 몰라서’, ‘아직 시기가 아니라 생각해서’, ‘시간이 없어서’ 등으로 나타나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홍보와 정보제공, 교육대상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한 매체 활용 교육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미래 지향적 맞춤형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후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in terms of social culture, family form and upheaval of value system such as young people giving up marriage and childbirth,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c material to be applied on the site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is, it explored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pre-parents education programs differentiated by subject and needs to improve parental preparedness and parenting efficacy. This study covered 274 parents living in Guri and Namyangju, Gyeonggi-do and Seoul, and examined the awareness of pre-parents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s for pre-parents education were high(82.5%) and the regularness of pre-parents education programs(67.2%), and monthly training took up the highest portions. Highest numbers of respondents chose small-group lectures at public institutions and spouses (future spouses) as co-trainees.
Second, unmarried respondents showed higher demand for the programs in terms of methods of spending pregnancy and childbirth stress resolution. They also displayed higher demands in terms of methods of delivering emotions to children, respectful attitudes to children and child-oriented child rearing methods while married respondents displayed higher demands for grandparent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ailored pre-parents education programs differentiated by media, methods and subjects of education enabling convenient participation in consideration of variously changing family forms, awareness of education participants and differences among such programs.

저자
  • 이현자(시립미리내어린이집 원장) | Hyunja Lee
  • 김성길(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 Seonggil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