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너지-환경 분야용 분리막의 Mesoscale Simulation 동향 연구 KCI 등재

Mesoscale Simulation of Polymeric Membranes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9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Mesoscale simulation은 원자의 그룹을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서 계산을 수행하는 전산모사 기술로 ns~μs의 시간 및 nm~μm의 크기까지 모사가 가능하다. 이러한, mesoscale simulation에는 (1) 입자 자체의 움직임을 계산하여 시스템을 모 사하는 particle-based mesoscale, (2) 입자의 움직임이 아닌 chemical potential filed나 density field 등의 변화를 계산하여 시 스템을 모사하는 field theory 등의 방법 등이 있는데, 두 방법 모두 고분자의 거시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강력한 전산모사 기술로서, 에너지-환경 분야용 고분자 분리막의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주로 블록 공중합체 분야에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었으나, 최근 들어 실제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 조건 등을 모사한 연구 결과와 같이 좀 더 응용 분야에 가까운 다양한 에너지-환경용 고분자 분리막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온 교환막의 경우에는 이온 전달 채널 형성을 분 석 및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mesoscale simulation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고, 최근에는 CNT, graphene 등의 나노 첨가물 소재 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mesoscale simulation 관련 연구에 대한 동향을 정리하고, 어떤 분야에 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지 제시하며, 에너지-환경 분야에 종사하는 분리막 연구자들이 mesoscale simulation 기술에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Mesoscale simulation is a type of molecular simulation techniques where groups of atoms are defined as a single bead for calculations, and accordingly, is possible to simulate longer time (ns~μs) and bigger size (nm~μm). There are two types of mesoscale simulations : (1) particle-based mesoscale which simulates the system by calculating the movement of the particles themselves and (2) field theory which simulates the system by calculating changes in the chemical potential filed or density field. Mesoscale simulations are powerful tools to study the macroscopic properties of polymers for various applications of energy and environment. In this review, we report the trends and useful information in mesoscale simulation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membrane researchers working in the energy-environment field to understand mesoscale simulation techniques.

저자
  • 박치훈(경남과학기술대학교(GNTECH) 에너지공학과) | Chi Hoon Park Corresponding author
  • 남상용(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Sang Yong 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