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종교적 장소에서 예술을 통한 속권 분리 선언: 15세기 볼로냐의 조반니 벤티볼리오 2세와 가족 예배당을 중심으로 KCI 등재

Assertion of Secular Sovereignty through Political Art: The Case of Giovanni II Bentivoglio and His Private Chapel in Bolog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6386
  • DOIhttps://doi.org/10.15597/jksmi.25083538.2017.23.1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본고는 근세로 이행하는 시기의 이탈리아에서 제작되었던 예술작품들이 단순히 예술적 의도로만 제작되지 않았음을 밝힌다. 15세기 후반 무렵, 피렌체의 예술이 볼로냐로 퍼져나가 어떻게 반 응하였는지를 살피고, 볼로냐를 통치한 조반니 벤티볼리오 2세가 주도한 도시 프로젝트를 통해 그 가 활용했던 황제의 이미지가 공공장소에서 주는 효과, 그리고 사적인 공간인 개인 예배당에서 그의 교양이 예술 속에서 어떠한 정치적 메시지를 던지는 지를 분석한다. 정치사상가로서의 단테의 『제정론』에 근거해 조반니 2세가 추구하려 했던 정치적 이상향을 밝히고 나아가 군주로서의 조반 니 2세의 풍부한 이미지 창출 능력을 재평가하여 북부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예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그 의의를 둔다.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Italy, artworks were often driven by political needs rather than aesthetic motivations. Giovanni II Bentivoglio, the ruler of Bologna in the late 15th century, commissioned major art projects in the mode of Florentine art, which was intended to promote his political agenda. This study reveals the meanings embedded in the image of the Roman emperor in Giovanni II-commissioned public works as well as the messages conveyed by the paintings in his private chapel which feature a portrait of Dante Alighieri. Dante was clearly intended as an anti-pontifical symbol because of his treatise De Monarchia, in which Dante argued that the secular authority should be protected from the power of the Church. This study will thus show that such political implication was an important aspect of Italian Renaissance art.

저자
  • 구지훈(숙명여자대학교) | Gu Ji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