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KCI 등재

Influence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69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층모형을 이용하 여 교장・교사수준별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실태 및 수 준 분석연구 2013’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192명 교장과 6,377명 교사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대하여 교장차이에서 설명할 수 있는 변량의 비율은 10%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활동은 학교교장들 역량에 따라 달라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양성교육기관 유형과 근속기간, 담임여부는 교사들 교내 수업개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성별과 학교유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 견해는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활동’ 학교 평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히 학교장의 해당학교 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가 높은 학교 일수록 교사들의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교장들 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견해’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나 타냈다. 다섯째, 교장의 해당학교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는 교사들의 해당학교 ‘교장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에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여섯째, 학교장의 ‘임용방식’, ‘교육경영목표’ 는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 평균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들 의 교내외 교외 수업개선 노력에 있어 교장 간 차이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교장 수준에서의 영 향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한다.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ttributes of principals and teachers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responses of 192 principals and 6,377 teachers were used from the data of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201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was explained differently in principal factors. Second, teacher-level attributes, ‘homeroom teacher or non-homeroom teacher, major, and teaching years had an positive effect on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while sex and school type did not affect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within the school’. Third,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reduced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outside the school.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was however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within the school. It means that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teachers a principal has, the more the teacher made an effort to improve their instructional skills in school. Fifth, the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he teachers was not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 of the principal. Finally, principal employment method, principal’s education management purpose, and perception of the principal of teachers explained the difference of teachers’ instructional improvement effort inside the school over principals but the portion which was not explained by the three principal-level variables above remains.

저자
  • 이승진(한서대학교) | Lee, Seungjin
  • 유난숙(전남대학교) | Yu, Nan Soo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