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황적 리더십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itu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69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상황적 리더십 유형인 지시적, 설득적, 참여적, 위임적 리더십유형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조직의 성과는 높이고 이직의 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리자의 리더십유형의 변화를 통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살펴 보았다. 가설검점(N=310)결과 지시적 리더십은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에 대하여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득적 리더십에 대한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에 대한 부(-)적 영향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어 설득적 리더십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력은 부(-)적 영향에 대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적 리더십과 위임적 리더십은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위임적 리더십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임파워먼트는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임파워먼트는 상황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 설득적 리더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우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조직확대를 통한 승진을 통한 경력관리 중심에서 직무를 통한 경력 관리 체제로 접어들면서 과거의 정보공유와 통제 중심의 조직관리에서 자율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리더십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한 조직관리와 단순한 위임이 아닌 임파워먼트를 통한 직무 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n effici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plan through changes in supervisors’ leadership which improves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nd affects turnover intention after analyzing the effects of situational leadership styles (i.e., telling, selling, participating and delega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hypothesis testing (N=310) revealed that telling leadership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hypothesis that selling leadership has a negative effect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rejected. Therefore, selling leadership had no nega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ntrast, participating and delegating leaderships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delegating leadership were high.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lationships between situ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empowerment mostly revealed mediating effects except for the case of selling leadership.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as the promotion-based career management system through organizational expansion has shifted to job-oriented career management system, the followings are needed: organizational management through paradigm changes in leadership from information sharing and control-centered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autonomous job fulfillment;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s through empowerment, not simple delegation.

저자
  • 김진홍(NAMSEOUL University) | Kim Jin-hong First author
  • 권용만(NAMSEOUL University) | Kwon Yong-m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