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시(視覺詩) 캘린더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영시(英詩)를 중심으로- KCI 등재

Visual Poetry Calendar Design Development Process -With focus on English Po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7007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7.4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시(詩)는 작가의 정신적 이상과 감성의 존재를 인지하는 언어로서의 항렬일 것이다. 시는 언어를 통해 생각을 필연적 존재 로 인식하고 삶과 사회와 기타 구성에 관한 모든 것에 관한 진리를 밝히는 것에 충실함을 잃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에 대한 감흥은 충실한 성찰과 말하고자 하는 대상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각시(視覺詩)라 명명되어 오고 있 는 그림으로 된 언어는 이제 실험 타이포그래피에 속해있는 실험적 대상이 아니라 시가 언어로 그린 그림이듯 온전히 독립 적인 지위를 가져야 할 시점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영문의 표현방식으로 한글이 주는 시적감흥을 유지할 수 있 는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하여 영시 12수를 선정하여 디자인 형식으로의 재현 가능성을 캘린더디자인을 통하여 확인 하고자 타이포그래피 인자와 공간 인자를 중심으로 형태적 상징성에 대한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조형적 요소와 형태 요소 를 중심을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공감각적 공간을 통한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려는 타이포그래퍼들의 노력이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서 선형과 비선형을 떠나 텍스트 공간에 대한 다의적 해석의 접근 방의 시각시에 대한 호의적 확 대의식은 함축적인 타이포그래피 운율에 맞춘 또 하나의 장르로 인식되기를 기대한다.

A poem might be a procession as a language which recognizes a writer’s mental ideal and the existence of emotions. A poem perceives thinking as an inevitable existence through a language, and never loses fidelity in clarifying truth about everything on life, society and other composition. Therefore, poetic inspiration might be a thing which approaches faithful introspection and the nature of the object one is going to talk about. Accordingly, a picture language, which has been named a visual poem, is not an experimental object belonging to experimental typography anymore; rather, now is the time for a visual poem to have its entirely independent position just like a poem is a picture drawn by a language. In this context, starting from a question about whether Hangeul-rendered poetic inspiration can be maintained in English expression mode, this study conducted the research wok on morphological symbolism with typographic factor and space factor with the center in an effort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of a poem in design form through calendar design by selecting12 pieces of English poetry, finally competing design with a highlight on formative factor and form factor. At the time when typographers’ effor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ypography through synesthetic space are increasing, this study hopes that the favorable expansion consciousness of a visual poem of a poly-semantic approach to text space away from the linear and non-linear could be perceived as another genre in line with a connotative typography rhyme.

저자
  • 이병석(대진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 Lee, Byung S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