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이데거(M. Heidegger)의 예술철학에 근거한 산업디자인의 예술적 지위(地位)에 대한 연구 (예술작품의 근원(Der Ursprung des Kunstwerks)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Artistic Position of Industrial Design based on M. Heidegger’s Art Philosophy (With focus on the Origin of Artworks(Der Ursprung des Kunstwer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7008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7.4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오늘날 디자인은 인간 행동과 가치 판단을 위한 규범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사회적 일상을 지지하는 결정적 단서로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디자인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는 짧은 수명으로부터 야기되는 환경파괴, 사회・경제적 불 평등 그리고 획일화된 일상문화를 조장하는 부정적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특히 기계적 대량생산 체계를 통해 공급되 는 상품들은 기능 중심의 효용성이 우수 디자인을 평가를 위한 근거가 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디자인의 예술적 가치는 외면되고 있다. 따라서 산업디자인의 예술적 지위에 대한 근거가 확보될 수 있다면, 이와 같은 문제들은 점층적으로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산업디자인의 예술적 지위를 규명하기 위해 하이데거(M. Heidegger1889~1976)의 “예술작품의 근원(Der Ursprung des Kunstwerkes. 1952)”을 기반으로 사물과 예술작품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그가 예술 작품의 기준은 예술 자 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사물적 특성과의 관계를 통해 예술작품으로 구분하였던 표현 이론적 차원의 입장을 견지하 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술작품의 기준을 디자인의 사물적 특성의 유무(有無)에 따라 존재자로서의 사물 또는 존재가 내제된 예술작품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사물과 예술작품의 정의와 특성을 구분하였으며, 시대적 구분을 통해 사물과 예술작품으로서의 특징을 적용함으로써 디자인의 예술적 지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Today, design is working on as norms for human behavior and value judgment, and its meaning is extended as a decisive clues supporting social daily life. However, industrial design has eventually degenerated into a negative object which fosters environmental destruction,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standardized everyday culture caused by its short life span which is pointed out as limitations of industrial design. Particularly, in case of the products supplied through the mechanical mass-production system, function-centered utility is becoming the basis for evaluation of excellent design, and relatively, artistic value of design is disregarded. Accordingly, if it should be possible to secure the basis of the artistic position of industrial design, it is expected that such a problem could be gradually fixed. This study, in an effort to inquire into the artistic position of industrial design, intended to divide it into a thing and artistic object on the basis of M. Heidegger(1889~1976)’s Origin of Artworks(Der Ursprung des Kunstwerkes. 1952).It’s because M. Heidegger held on to an expression theory-based level of position towards classification of an object as an artworks through the relations with the material characteristic while arguing that the basis of an artwork doesn’t consist in art itself.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the basis of an artwork into a thing as a being, or into an artwork, in which a being(truth) inheres, according to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material property of design. To this end, this study drew a line betwee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thing and an artwork, and intended to confirm the artistic position of design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as a thing and an artwork through the periodic classification.

저자
  • 최성운(대진대학교 디자인학부 제품・환경디자인전공) | Choi, Sung Woon
  • 김미숙(대진대학교 디자인학부 제품・환경디자인전공) | Kim, Mi 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