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축분뇨 냄새 저감을 위한 국내 수집 냄새저감용 첨가제의 효능 평가 KCI 등재

Study on Korean Commercial Additives and Agents for Reducing Odor of Manure in Animal Far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2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가축분뇨의 냄새 저감용 제제의 효율적 활용 및 관리를 위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환경개선제의 동향 및 냄새제거 효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사료첨가용 제제는 전체 제품의 80%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분뇨살포용 제제 그리고 음수첨가용 제제 순이었다. 대부분의 제제들은 0.1-0.2% 사용을 권장하였으며, 전체 제품의 71%를 차지하였다. 환경개선제 유효성분 중 가장 많은 원 료는 생균으로 전체 제제의 85%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규산염, 허브 그리고 유기산과 효소로 구성된 제제 순이었다. 환경개선제용 생균제로 이용되는 미생물들은 Bacillus coagulans, B. fermentum, B. thuringiensis, B. licheniformis, B. subtillis, Enterococcus faecium, Lactobacillus acidophilus, L. fermentum, L. lactis, L. plantarum, L. casei, L. brevis, Streptococcus faecium, Clostridium butyricum, Saccharomyces cerevisiae, Aspergillus niger 및 A. oryzae 등이 사용되었다. 냄새제거 효능 평가에서 암모니아 발생 억제 효능을 가진 제품은 전체 제품의 71%이었으며, 48시간까지 효능을 발휘하는 제품은 29%이었다. 암모니아를 30%이상 감소시킨 제품은 암모니아 저감 효능을 나타낸 제품 중 44%를 차지하였고, 24%의 제품이 10% 미만 그리고 나머지 32%의 제품은 10-30% 수준의 저감 효 과를 나타냈다. 황화수소를 30%이상 감소시킨 제품이 32%로 가장 많았고, 8%의 제품이 10% 미만의 그리고 나머지 6%의 제품은 10-30% 수준의 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가축 분뇨의 냄새 방지와 관련하여 다양한 종류의 제제가 국내에 유통되고 있었으며, 앞으로 환경개선제의 효율적 활용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효능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Korean market trends, and the efficacy of commercial additives and agents to reduce the odor of manure within livestock farms. Products were categorized as feed additives, water additives, and slurry agents. Eighty percent of products were feed additives; this percentage included those products used as both feed and water additives or feed and slurry additives. The recommended usage level was 0.1-0.2% of supplementation, which accounted 71% area of products. Probiotics accounted for 85% of products and the major microorganisms were Bacillus coagulans, B. fermentum, B. thuringiensis, B. licheniformis, B. subtillis, Enterococcus faecium, Latobacillus acidophlus, L. fermentum, L. lactis, L. plantarum, L. casei, L. brevis, Streptococcus faecium, Clostridium butyricum, Saccharomyces cerevisiae, Aspergillus niger, and A. oryzae. NH3 gas was reduced by 71% of products after 24 hr of fermentation; and 29% of products still achieved after 48 hr of fermentation. Forty-four percentage among the products reducing NH3 gas was decrease more than 30% of the NH3 gas produced in the control. Thirty-two percentage of products reduced from 10 to 30% of NH3 gas; 24%, less than 10% of the gas. Seventy-four percentage of produc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H2S gas. Of those, 32% were able to reduce more than 30% of H2S ga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Six percentage of products reduced 10-30% of H2S gas and 8% of products reduced less than 10% of H2S gas. These results show that additives and agents for reducing the odor of manure vary in their effectiveness and that monitoring their effectiveness is continuously required.

저자
  • 성하균(상지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Ha Guyn Sung (Dept. of Animal Science & Technology, Sangji University, Wonju, 26339, Korea)
  • 조성백(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 Sung-Baek Cho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Suwon, 55365, Korea)
  • 이성실(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ung Sill Le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BK21+,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최연재(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Yeon-Jae Choi (Dept. of Animal Science &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922, Korea)
  • 이상석(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Sang-Suk Lee (Dept. of Animal Science & Technolog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57922,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