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중신속순차제시아래 자극의 명암대비 및 색상이 표적 탐지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Stimulus Contrast and Color on Target Detection under Multiple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9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일련의 문자열들 중 하나의 표적을 탐지하는 데 자극 명암대비와 색상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 1의 각 시행에서는 네 문자로 구성된 RSVP가 제시되고 각 RSVP 화면상의 문자들이 서로 다른 위치를 점유하였 다. RSVP 배열 내에서는 한 위치에 회색 표적 문자가, 나머지 위치에 세 방해자극들이 제시된 표적화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RSVP 화면에서 네 흰색 방해자극 문자들이 상응하는 위치에 제시되었다. 고가시성 조건에서는 회색 배경화면 보다 표적 회색이 현저히 어두웠던 반면 저가시성 조건에서는 그 밝기 차이가 상대적으로 분명치 않았다. 참가자들은 사전에 지정된 표적들 중 각 시행에서 어느 것이 출현했는지를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도록 요구받았으며 그 결과 관찰된 탐지 수행은 고가시성 조건에서 더 정확했으며 신속했다. 실험 2에서는 고가시성 조건의 회색 표적을 고선명도 유채색 표적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험 1과 동일한 RSVP 화면 및 과제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 참가자들 은 고가시성 조건의 표적을 더 정확히 탐지했으나 반응 속도에 있어서는 두 가시성 조건 간 차이가 없었다. 두 실험의 결과는 시각적 부담이 높은 상황일지라도 현저한 명암대비 및 색상이 부여될 경우 자극에 대한 지각이 촉진됨을 시사하 며 자극 색상에 비해 명암대비가 지각적 촉진에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을 제안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timulus contrast and color on detection of a target embedded in streams of letters. In Experiment 1, each trial displayed four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RSVP) streams of letters (i.e., multi-RSVP), and each stream occupied one of four different locations. Each frame in the RSVP stream had four white distractors at the locations except one frame where a dim grey target was displayed at a location with three white distractors at the remaining locations. In the low-visibility target condition, the target’s grey color was slightly darker than the background grey whereas much dimmer in the high-visibility condi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port presence of a predesignated target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upon its detection in each trial, and their target detection turned out more accurate and quicker in the high-visibility than the low-visibility condition. In Experiment 2, the same RSVP displays and task as Experiment were used, but the grey target letters in the high-visibility condition were replaced with those of distinct chromatic colors. Participants detected target presence more accurately in the high-visibility condition, but the reaction time did not differ between the visibility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stimulus contrast as well as distinct color can improve perception of a target stimulus displayed among visually-demanding background, but also suggest that stimulus contrast may play a more substantial role for such perceptual improvement.

저자
  • 박종민(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Jong-Min Park
  • 김기연(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Giyeon Kim
  • 현주석(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Joo-Seok Hyu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