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적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프로그램 효과성연구: 체계적 고찰 KCI 등재

Effec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Systematic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05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프로그램의 종류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내 임상 현장의 작업치료사에게 직업재활과 관련된 중재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연구방법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RISS, Google Scholar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Employ progra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7편의 국외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형식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 프로그램 명칭, 강도/기간, 중재형태, 프로그램 제공자, 종속변인, 결과를 정리하였다.결과 :직업재활프로그램 유형에는 학습기술훈련, 직업훈련,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훈련, 가상현실훈련이 있었다. 중 재 프로그램에는 직업훈련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중재가 실시된 환경은 직업재활센터(62.5%), 보호작업 장(12.5%), 특수학교(12.5%), 가상현실센터(12.5%)이며 모든 중재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환 경에서 실시되었다. 중재 결과 집중력, 직업일반화능력, 직업유지능력, 행동조절능력, 자기결정, 독립성 향상 및 고용률이 증가하였다.결론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프로그램과 그 효과를 정리하여 직업재활에서 작업치료서비스의 전 문성과 질을 향상시키고 관련 영역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는 직업재활 분야 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정립하여 다양한 직업재활 중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types and effec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Methods :Previous studies were found from an electronic database; RISS and Google Scholar database published between 2007 to 2016. The key terms wer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Employ progra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 total of 7 articles were used in this analysis.Results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included learning skills training, vocational training, ADL/IADL training, and virtual reality training.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a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62.5%), a sheltered workshops(12.5%), a special school(12.5%) and a virtual reality center(12.5%).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concentration, job generalization, job maintenance, behavior control, self–determination, independence were improved and employment rate increased.Conclusion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and the effect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future, the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be clarifi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저자
  • 우예신(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Ye-Shin Wo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신가인(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Ga-In S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박혜연(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Hae Yean Par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