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안 천연 해조장의 군집구조와 분포 특성 KCI 등재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Natural Seaweed Bed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07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이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우리나라 동해안에 위치한 강릉, 울진, 부산 일대에서 천연 해조장 및 서식환경 특성을 분 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해조류는 총 96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녹조류 9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4종이었다. 강릉의 경우, 미 끈뼈대그물말(D. divaricata)이 정점별로 173.2 ~ 613.8 g m-2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고, 가는보라색우무(S. linearis)가 360.8 ~ 520.4 g m-2, 미역(U. pinnatifida)이 25.9 ~ 470.8 g m-2로 생물량이 높았다. 울진에서는 참곱슬이(P. telfairiae)가 5.5 ~ 256.2 g m-2, 구멍쇠미역(A. clathratum) 이 46.8 ~ 241.5 g m-2로 생물량이 높았다. 부산에서 높은 생물량을 보인 해조류는 큰잎모자반(S. coreanum)으로 388.1 ~ 6,972.4 g m-2였고, 감 태(E. cava)도 194.9 ~ 958.5 g m-2로 다른 해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체량 비율의 경우, 강릉에서 0.0 ~ 55.5 %로 평균 19.2 %를 나타내 울진과 부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울진에서는 36.8 ~ 73.3%으로 평균 63.8%를 보였으며, 부산은 평균 48.5 %였다. 갯녹음 비율은 강릉에서 평균 46.7%의 비율을 나타냈고, 울진에서는 평균 91.1 %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이번 연구에서 다 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식성 동물의 밀도는 강릉에서 평균 6.0 개체/m2로 분석되었고, 울진에서는 7.0 개체/m2를 나타 냈으며 부산에서 2.0 개체/m2로 전체 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조식성 동물 밀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종조성, 출현비율, 밀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해안개발 등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오염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모니 터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Natural seaweed beds and habitat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rom May to December 2015 at 3 sites in Gangneung, Uljin, and Busan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In total, 9 green, 23 brown, and 64 red algal taxa were identified. The biomass of the seaweed at Gangneung was 173.2 to 613.8 wet wt. g/m2 of Dictyota divaricata, 360.8 to 520.4 wet wt. g/m2 of Symphyocladia linearis, and 25.9 to 470.8 wet wt. g/m2 of Undaria pinnatifida. At Uljin, these numbers were 5.5 to 256.2 wet wt. g/m2 of Plocamium telfarirae and 46.8 to 241.5 wet wt. g/m2 of Agarum clathratum. The biomass of Sargassum coreanum and Ecklonia cava were 388.1 to 6,972.4 wet wt. g/m2 and 194.9 to 958.5 wet wt. g/m2, respectively, at Busan. S. coreanum and E. cava showed higher biomass compared to other seaweed at Busan. The biomass rate represented an average of 19.2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ranging from 0.0 to 55.5 percent in Gangneung. In Uljin, the average was calculated as 63.8 percent, and this figure was 48.5 percent in Busan. The percentage of barren ground averaged 46.7 percent in Gangneung and 91.1 percent in Uljin. Uljin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barren ground compared to other regions. Sea urchin density appeared to be 6.0 ind./m2 in Gangneung, 7.0 ind./m2 in Uljin, and 2.0 ind./m2 in Busan, with the lowest sea urchin density being that of Busan. In conclusion, the composition of species, appearance ratio, and abundance of vegetation found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but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due to concerns about physical and chemical pollution caused by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and coastal development.

저자
  • 박규진(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Gyu Jin Park (Depart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31, Korea)
  • 주현(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Hyun Ju (Korea Fisheries Recources Agency, Busan 46041, Korea)
  • 최옥인(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Ok In Choi (Korea Fisheries Recources Agency, Busan 46041, Korea)
  • 최창근(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Chang Geun Choi (Depart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31,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