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케그의 유무와 예인삭의 길이가 부선의 궤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Skegs and Length of Towline on Trajectory Characteristics of Bar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07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된 부선의 궤적의 특성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스케그의 유무에 따 른 3가지 조합의 부선 모델을 대상으로 수조실험을 실행하였고, 예인삭의 길이가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합의 바지선에서의 각각의 궤적 형태의 길이와 진폭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부선의 궤적은 스케그 뿐만 아니라 예인삭의 길이 에도 영향을 받고 있음이 드러났다. 스케그는 선수형상 및 예인삭 길이의 차이에 관계없이 부선의 코스 안정성을 크게 향상 시킨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인삭의 길이는 부선 시스템의 궤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부선의 회두운동의 길이와 진폭은 부선 연결된 예인삭의 길이가 길수록 증가되였다. 향후 추가 실험 및 결과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presents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trajectory characteristics of barges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A tow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water tank with three types of barges in two cases: with and without skegs. The effects of towline length on trajectory were also observed.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length and amplitude of trajectory shapes for each barge in various combinations. It revealed that the trajectory of a barge is influenced not only by skegs but also by the length of the towline. As a result of this work, it can be clearly seen that skegs significantly improve the course stability of a towed barge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bow shape or towline length. Water tank test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length of a towline plays a key role in affecting the trajectory characteristics of a barge-towing system. The length and amplitude of the slewing motion of a barg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towline connected to the barge. Validation of the present research results should be carried out by further experiments and computational comparisons in the near future.

저자
  • 이상민(군산대학교 해양생산학과) | Sang-min Lee (Department of Maritime Science and Produc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573-701, Korea)
  • LuongTu-Nam(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과) | Tu-Nam Luong (Department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530-729, Korea)
  • 임남균(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Nam-Kyun Im (Department of Navigation,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okpo, 530-729,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