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새로운 공공미술로서의 화훼디자인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Floral Design as a New Public A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247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7.50.1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시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하면서 환경조형물이나 벽화 등으로 미관을 개선하는 사례를 빈번히 볼 수 있으나, 역사성이나 장소성, 지역 고유의 정서를 대표하는 변별적 특성을 살리지 못함으로써 어디를 가든 획일적 풍 경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류의 역사에서 이미 공공미술로서 인류와 가까웠던 화훼(花卉)가 오브제 위주의 기존 공 공미술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화훼디자인이 패러다임 체인저(paradigm changer)가 될 수 있 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먼저, 공공미술의 개념과 경향 및 역할을 살펴보고 화훼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로서 갖는 의의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공공미술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화훼디자 인의 어떠한 특성이 공공미술로서 가치가 있는지를 논한 다음, 공공미술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는 실험적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본 연구의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방법은 공공미술과 화훼디자인의 특성 및 공공성 등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 하고, 대안 제시를 위해 실험적 방법론의 프로세스를 구조화 하였다. 지금까지의 공공미술은 주로 벽화나 환경조형물을 공 공장소에 설치하여 상징성과 지역성을 추구해왔고, 최근에는 도시에 문화를 입히는 수단으로 활용하여 도시브랜드화를 시 도하는 양상으로까지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환경은 조경이나 원예, 스트리트퍼니처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화훼디자인 이 공공미술의 영역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연구자는 대중이 공공미술의 창작활동에 참여하는 새로운 접 근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이 방식을 통해 여섯 가지 효용을 도출하여 이를 근거로 화훼디자인이 공공미술의 패러다임 체인 저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While each local autonomous government is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by improving the look of environmental scriptural and wall paintings, it may consequently disregard the unique view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is can result in urban areas looking similar everywhere. The study began b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flower formation as a paradigm changer. It explored the use of flowers as an alternative to an object oriented to human art. We studied the concepts, researched trends and roles of public art, analyzed characteristics of a flower, and figured out the significance of floral art as a public art. No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public ar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of floral composition. However, the public is exploring this by proposing empirical methods to approach public art in a new way. The research metho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and floral composition focusing on the nature of public art and floral design. It has utilized the process of experimental methodology for presenting alternative methods. Until now, public art has been mainly seeking to promote symbolism by installing paintings and landscapes in public places and most recently attempting to capitalize on urban brands as a means of expressing urban culture. However, urban environments lack access to areas for public art due to landscaping, gardening and street design.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the public propose a new approach to the creation of public art, drawing upon six utilities. They believe that this will result in a paradigm shift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style of public art.

목차
1. 서론
2. 공공미술과 도시환경
3. 화훼디자인의 개념 및 효과
4. 공공미술로서 화훼디자인의 가치
5. 결론
REFERENCES
저자
  • 류복희(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Ryu Bok Hee Corresponding author
  • 이진호(동서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 | Lee Jin 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