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호학적 의미를 통해 고찰해 본 현대 패션 디자인 색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nges of Modern Fashion Design Colors by Semiotic Approach -Focused on Depth Interview by Fashion Exper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249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7.50.1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최근 패션마켓은 소비자들의 각기 다른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더욱 세분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컨셉과 디자인을 선보 이고 있다. 패션과 패션색채는 사회⋅문화 맥락에서 상징성과 의미를 가지는 대표적 문화 기호이며, 인간의 근원적 욕구인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자기표현과 차별화 수단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징적 가치를 전달하는 시각기호’로서 패션 색채가 변화하는 의미를 지닌 가치대상이며, 동시에 사회적 승인을 기반으로 새로운 상징적 가치를 창출하는 가치행위로 패션마켓에서 사회현상과 함께 패션색채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Barthes의 신화론과 Baudrillard의 소비이론에 근거하여 현재 패션마켓에서 색채의 기준이 되고 있는 중세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기적 구분을 14 ~ 16세기 르네상스 전후, 18세기 중반 ~ 19세기 초반까지의 산업혁명 전후, 제 1,2차 세계대전, 20세기 이후로 나누어 특징적인 색채 5가지를 선정하여 기호학 관점으로 패션색채의 변화를 분석하였 다. 패션과 패션색채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이론을 토대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패션의 소비가치 변화, 패션색채 변화의 기호학적 함의, 현대 패션색채 변화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정성적 조사를 하였다.

Recently, fashion market is more subdivided by reflecting the individual taste of each individual and presents various concepts and designs. Fashion and fashion color is a representative symbol of culture with symbolism and meaning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a representative means of self-expression and differentiation that pursue aesthetic beauty as a desire, it is a value object that has a meaning that changes the fashion color as a visual symbol that conveys a symbolic value that continuously changes. At the same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a close eye on the social phenomenon and the change of fashion color in the fashion market. In this study, based on Barthes ‘mythologies’ and Baudrillard ‘La société de consommation: ses mythes, ses structures’. The period from medieval to modern which is the standard of color in fashion market, From the mid ~ Renaissance, 19th century to the post ~ Industrial Revolution, after World War I, II and after the 20th century, five characteristic col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semiotic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n fashion and fashion color changes. I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modern fashion consumption value, semiotic meaning of fashion color and change of modern fashion color through ‘Depth Interview’.

목차
1. 서론
2. 기호학적 의미로 본 패션색채와 패션변화 이론에 대한 선행연구
3. 연구내용
4. 연구결과 및 의의
5. 제언
REFERENCES
저자
  • 임현이(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 | Im, Hyun ee Corresponding author
  • 성열홍(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교수) | Sung, Youl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