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선택 현황 및 진로확신에 대한 조사연구 KCI 등재

A Study on Career Selection Status and Career Confidence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4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현황을 알아보고 일반적 현황에 따른 진 로성숙도와 진로불안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된 4년제 대학 7개 학교, 3년제 대학 7개 학교의 총 2,1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1,590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전공 선택요인을 분석한 결과, 70.0%가 넘는 응답자가 입학 전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봉사경험이 있 었고 가족 중 보건직종사자가 있는 경우도 60.0%에 달했다. 학과선택계기는 추천보다는 스스로 선택한 경우가 조금 더 높았으며 정보는 인터넷으로 습득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관심치료 연령군은 소아가 913명이 응답하여 가장 높았고 관심 치료 분야는 감각통합치료 빈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들의 졸업 후 또는 십년 후 희망 취업지 모두 의료기관 취업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응답자 중에 종합병원의 선호도 가 61.1%로 가장 높았다. 국시불안은 5점 만점에 평균 4.29으로 높은 편이었고 진로확신은 입학 시 평 균 4.34(5점 만점)에서 현재는 평균 4.15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진학확신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확신 수준이 높은 경우 진로불안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 지막으로 진로성숙도와 진로불안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최근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진로선택 현황, 진로성숙 및 진로불안의 경향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 는 향후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교육환경 개선과 학생 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selection status in occupational therapy(OT) students in Korea and to analyze their career maturity and career anxiety according to the general situation.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2,180 samples from seven 4-year colleges and seven 3-year colleges. A total of 1,590 surveys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Most OT students had volunteer experiences at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had jobs related to health services. Cases of recommendation for selecting major were a little bit higher than self-selection, and most of them got information about OT through internet. The most of respondents were interested in the pediatric parts an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Respondents wanted to get a jot in medical institutions among various choices and 61.1% respondents were answered to want work to the university hospitals. The anxiety level about national examination was 4.29 out of 5 points. Confidence about OT when they entered the University was 4.34, but it decreases to 4.15 at this point. Career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 when career confidence was high. Also. career maturity and anxie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our knowledge regarding ways to provide better academic service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to OT students.

저자
  • 신가인(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Shin, Ga-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 우예신(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Woo, Ye-S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 박혜연(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Hae Ye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 Yonsei University)
  • 김정란(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Kim, Jung-R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