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횡성지역에서 귀리(Avena sativa L.) 춘파재배시 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이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Fertilizer Levels on Seed Production of Oats(Avena sativa L.) in Hoengseong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68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실험은 횡성지역내 조사료 자급을 위한 귀리(Avena sativa L.)의 채종재배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2016년 3월부터 7월까지 강원 횡성 시험포장(전작)에서 수행되었다. 공시품종은 춘파귀리인 ‘하이스피 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수준의 파종량과 질소시비량을 통해 출수특성, 생육특성, 수량성 등을 평가하 였다. 이를 바탕으로 횡성 지역 내 채종재배를 위한 귀리의 적정 파종량과 질소시비량을 얻고자 수행되 었다. 파종량 및 질소시비량에 따른 귀리의 출현일수 및 출수일수는 각각 8일, 74일로 모든 시험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출수기 이후 성숙기까지의 소요일수는 12일로 모든 시험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 다. 파종량에 따른 귀리의 초장 및 수장은 파종량 130kg/ha 시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단위면적당 경 수와 수수는 파종량 160kg/ha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수립수, 1수립중, 천립중(千粒重)과 리 터중은 파종량 100kg/ha 시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파종량에 따른 종실수량은 파종량 100kg/ha 시험 구에서 4.5t/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질소시비량에 따른 귀리의 초장, 간장 및 수장은 질소시 비량 50kg N/ha 시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경수와 수수는 질소시비량 70kg N/ha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질소시비량에 따른 1수립수, 1수립중, 천립중(千粒重), 리터중은 질소시비량 70kg N/ha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질소시비량에 따른 종실수량은 질소시비량 50kg N/ha 시험구에서 4.5t/ha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채종재배는 종실의 수확이 목적이므로 수확지수와 종실수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했을때, 횡성지역 내 조사료 자급을 위한 귀리 채종 재배에 있어 적정 파종량은 100kg/ha, 적정 질소시비량은 50kg N/ha가 적합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6 in the Gangwon Hoengseong Experimental Fiel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seed production of Oat(Avena sativa L.) for self-sufficiency of forag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were evaluated through different seeding rate and fertilization level using 'High Speed', a cultivar of oats. According to seeding rate and fertilization level,the number of emergencedays and the number of heading days of oats were 8 and 74 days respectively. The number of days from the heading to maturing was 12 days in all over the test plots.plant height and Panicle length of oats according to seeding rate were highest at the 130 kg/ha and number of culm and panicle per unit area were the highest at the 160 kg/ha. Number and weight of grain per panicle, weight of 1,000 grain and test weight were the highest at the 100 kg/ha and seed yields according to seeding amount was the highest at the 100 kg/ha as 4.5 t/ha. Plant height, Culm and Panicle length of oats according to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were the highest at the fertilization 50 kg N/ha, and number of culm and panicle were highest at the fertilization 70 kg N/ha. Number and weight of grain per panicle, weight of 1,000 grain and test weight according to fertilization level were highest at the 70 kg N/ha. seed yields according to fertilization level were highest at the 50 kg N/ha as 4.5 t/h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roper seeding rate would be 100 kg/ha and proper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50 kg N/ha for the seed productionof oat in Hoengseong Area for self-sufficiency of forage.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방법
  2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기상조건
 결과 및 고찰
  1 귀리의 파종량 및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출수 특성
  2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성
  3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성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주송탁(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과,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Yonsei University) | Song-Tak Joo
  • 주영규(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과,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Yonsei University) | Young-Kyoo Joo
  • 이주삼(연세대학교 빈곤문제연구소, Institute for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IPAID), Yonsei University) | Ju-Sam Lee
  • 한옥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Ouk-Kyu Han
  • 백남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Nam-Hyeon Baeg
  • 조익환(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Daegu University) | Ik-Hwan J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