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술의 소비상품화에 대한 풍자: 채프먼 형제(Jake&Dinos Chapman)의 <채프먼 패밀리 컬렉션 The Chapman Family Collection>(2002)을 중심으로

Satire about the commercialization of artworks: focusing on the works of Chapman Brothers, ‘The Chapman Family Colle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1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미술사문화비평학회 (Association of Art History, Culture & Critique)
초록

이 글은 2002년 런던 화이트 큐브 갤러리(White Cube Gallery)전시인 ≪<채프먼 패 밀리 컬렉션>의 작품들≫(The Works from <The Chapman Family Collection>)을 중심 으로 채프먼 형제가 미술작업의 소비상품화에 대해 어떻게 풍자하고 있는지를 바타이유 이론과 금기에 대한 도전을 중심으로 논한다. 이 전시는 전통적으로 순수 미술로 여겨 져 많은 아방가르드 미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던 원시 부족 미술의 형식을 갖춘 일군의 토템상들이 전형적인 미술관의 진열 방식으로 전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부족은 대중 적이고 가격이 저렴한 패스트푸드 체인기업인 맥도날드(McDonald’s) 로고와 이를 대표 하는 로날드(Ronald)와 빅맥(Big Mac)을 형상화 한 신상(神像)과 성물(聖物)을 보여주 면서 종교적 신성함과 대중적인 소비가치를 나란히 공존시켜 또 다른 괴리감을 불러일 으킨다. 사실상 그들은 1990년대에 기이하고 그로테스크하며 보기 불편한 형상들이 주를 이 루는 작업들과 이와 관련한 충격적인 주제들로 잘 알려져 있었다. 형제의 작품은 주로 마네킹이 주매체이며 기형의 신체와 포르노그라피를 주제로 작업해 왔다. 그러나 2002 년이 이 전시에서 채프먼 형제가 직접적인 신체의 절단이나 재조합에서 벗어나 직접적 으로 인간 관념을 절단하고 재조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후의 채 프먼 형제 작품이 직접적인 시각적 충격보다는 오히려 이러한 관념의 이질적 조합 방식 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시작점으로서 의의를 가진다고 본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변 화는 갑작스러운 것이 아니라 2000년부터 테이트 모던의 전시에 yBa 그룹의 미술가들 이 초청받지 못하자 이전 작품의 형식이 미술 시장과 비평적 평가에 견주어 전략적으로 수정되고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미술이 고급한 문화 영역이라고 보는 것은 사회를 구성하는 계급의 기호와 가치척도 가 정한 것이므로 이러한 금기에 의문을 던지는 것이 바로 미술 작품이라고 보는 시각 에서 살펴보면 채프먼 형제의 <채프먼 패밀리 컬렉션>은 확실히 전략적 전복을 꾀하고 있다. <채프먼 패밀리 컬렉션>에서 현재 창작물을 거꾸로 원시 부족 미술과 연관시킨 것도 이 같은 맥락이며 그 이면성을 현대 소비사회까지 확장시킨 첫 번째 시도이다. 채 프먼 형제의 작품은 전략적인 미술사의 계보 설정과 포스트모더니스트 사고의 전복, 그리고 미술시장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모두 역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주목하고 실재와 비 실재의 이면성을 드러내는 작품을 제시한 것에서부터 고야의 판화이미지를 차용하여 처 음에는 미니어처 조각으로 제작하고 이후에 다시 형식까지 차용한 에칭으로 만들면서 반복적인 차용과 재현 작업을 통해 우리의 기존 관념을 기본부터 해체하고 와해시키면 서 작품을 보는 주체의 관념과 사고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고 있다.

Jake and Dinos Chapman brothers belong to yBA and they began their own collaboration in 1991 after graduating the Royal College of Art. Actually they were well known for their uncanny, grotesque and displeased figure works and deliberate shocking subjects in 1990s. The brothers have often made pieces with plastic models or fiberglass mannequins of people and they continued the theme of anatomical and pornographic grotesque with a series of mannequins of children, sometimes fused together, with genitalia in place of facial features. Some of the brothers’ works in 1990s were parodies or pastiches of well known formal artists. Their works has also referenced work by such as Goya, William Blake, Auguste Rodin and Nicolas Poussin. So several critics estimated they are not so much worthy without the works’ visual shocking. But the effect from the sense of difference in their shocking works steadily shows the coexistences of difference aspects between idea and obsession, existence and delusion, truth and fake and sublimity and valuing metaphorically. From 2000, metaphoric implication in their works are getting out from the very visual shocking with deformed figure, then heading for nudging and recombining the typical ideas that has developed for a long term in human society. Among these works after 2000, one of the striking exhibition has opened at White Cube Gallery in London, ‘The works from “The Chapman Family Collection”’. This exhibition shows a group of tribal art sculptures that Chapman brother own made, just like same way of displaying of the other formal exhibition ‘Africa-The Art of Continent’ at Royal Academy in 1995. But this tribal art at White Cube contained partly the images of McDonald’s logo, the main character like Ronald, and its merchandises like Big Mac or Cheeseburger. The visitors could think this exhibition is about a kind of old tribal art at first, but looking at these works in detail, they recognized that these works were about a corporation by modern capitalism and have experienced the disparate feelings between holy form and capitalistic details. In my opinion, this works and exhibition had the importance that the brother were turning their works’ uncanny subject and visual impact method towards rather the dealing with the human’s typical idea. And also it was the first time in Chapman brothers works taking the disparate idea and feelings. Therefor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oints, ‘The Chapman Family Collection’ could be discussed and investigated to find that why the tribal art was chosen as a subject and what this means. First, it must be explained that why and how Chapman brothers have moved the way of their emphasizing impact visual appearance and uncanny subject to the way of using capitalistic corporation images and consuming society metaphorically. It is possible to compare with other yBA artists who working on same period. And then, it should be looked into what the tribal art and the divinity mean, and how the feature of commercial value on McDonald’s as a representative corporation of capitalism could be mixed in tribal art by Chapman Brothers. This is based on the exhibition catalogue of Chapman Brothers and articles about this exhibition mainly.

목차
Ⅰ. 머리말
 Ⅱ. 채프먼 형제의 작품 경향: 1990-2008
  1. 관념의 전복과 신성 모독
  2. 비실재공간과 현실의 연결
 Ⅲ. 에서 나타나는 원시 미술의 창조 및 판매의 의의
  1. 대중문화의 신성神聖화
  2. 신성神聖의 소비상품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윤경(숙명여자대학교,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Kim, Yoon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