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앨런 카프로우(Allan Kaprow, 1927-2006)의 <안뜰 Yard> 연구

A Study on Allan Kaprow’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1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미술사문화비평학회 (Association of Art History, Culture & Critique)
초록

본 논문은 앨런 카프로우(Allan Kaprow, 1927-2006)의 1961년 <안뜰(Yard)>을 중심 으로 해프닝을 연출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이다. 카프로우의 <안뜰>은 일상과의 소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낸 최초의 미국 해프닝으로서 20세기 말 현대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카프로우는 1950년대 말 대중소비사회를 표상하는 도시의 일상적인 상황을 <안뜰> 을 통해서 소개했다. 카프로우는 <안뜰>을 연출하기 위해서 도시의 사회적 환경에서 비 롯된 폐기된 타이어, 조각공원, 관람자 등의 특성과 이들의 조합에 주목했다. 그리고 카 프로우는 이 구성요소들을 토대로 일상을 재현에 가깝게 연출하여 대중들의 시선을 끌 고 그들과의 소통을 시작한다. 카프로우에게 <안뜰>은 삶과 예술의 관계를 연결시키기 위한 그의 노력의 결실이며, 현대예술에서 일상의 의미에 중요성과 그에 따른 소통의 의 의를 재고해 볼 수 있게 한 시도였다. 카프로우는 일상생활에서 비롯된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도시의 사회적 환경에서 <안뜰>을 연출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의 본질적인 특성을 고려한다. 카프로우는 도시 의 문화적 쓰레기이자 사회문제를 표상하는 폐기된 타이어를 선택했다. 그리고 카프로 우는 도시의 건물들과 인접한 조각공원에서 수백 개의 타이어들을 배치시키는 데 주력 했다. 카프로우는 타이어로 타이어 폐기장이라는 일상적인 환경으로 공간을 새롭게 전 환시켜 도시의 현장감을 살렸다. 카프로우는 더욱 타이어 폐기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 기 위해서 타이어를 나르고 이동시키는 자신의 신체적 행위를 강조했다. 카프로우는 타 이어와의 관계를 통해서 해프너로서의 역할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카프로우의 이러한 신체적 행위의 역할의 특성은 그와 함께한 관람자들의 참여와 활동과 유사했다. 카프로 우는 예술가의 역할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 그리고 관람자들은 카프로우와 같이 타 이어를 나르고 이동시키고 더 나아가 타이어 위를 걸어 다니는 신체적 행위를 보여준 다. 카프로우는 관람자들에게 창조적인 활동으로 나아갈 수 있게 <안뜰>의 스코어를 통 해서 도와주었다. 관람자들은 자발적인 참여와 활동으로 개인의 활동 범위를 넓혔다. 카 프로우는 관람자들의 창조적인 활동으로 능동적인 주체로서의 성장을 기대한다. 이와 같이, 카프로우는 도시 일상에 근접한 해프닝 연출을 1961년 <안뜰>을 통해서 증명하고 일상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시간을 가지게 했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elements of a Happening about Allan Kaprow’s <Yard>(1961). <Yard> has provide that he initial point of American Happening. The end of the 20th Century <Yard> was opening a new prosepect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Kaprow no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waste tire, sculpture garden, audience in urban society environment and those composed. So Kaprow represents <Yard> so as to realized a reality that symoblize the mass consumption community in the late 1950s. And Kaprow has considered and reflected the consumer society’s urban everyday in the late 1950s. Kaprow presents typical of everyday situations so as to realized a reality. For, Kaprow, <Yard> connected his efforts in communicating with everyday life. Kaprow reconsidered the importance of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in the contemporary art with signification of the communication through <Yard>. Kaprow represent Happening related to urban social enviroment based on individually experience with consider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n four elements. Kaprow selected waste tires that present emblem of in the cultural trash and social issue. and Kaprow trying to display hundreds of waste tires inside space in sculpture garden with adjoining the city’s buildings. Kaprow shows processes of transformations inside space in sculpture garden. Kaprow convey a sense of realism through tranforming into sculpture garden scene. then, Kaprow emphasis one’s physical behaviour with carring a waste tires or going to move a wasste tires to Heighten the atmosphere changed the tire dump. this way Kaprow reveal Happener’s role connectioned with waste tires. such Kaprow’s physical behaviour similar with characteristics of role in audience’s participation and activity. Kaprow impart a new meaning to role of artist. The audiences can show freely carring a used tires or going to move a used tires like Kaprow. by extension, with walking on across used tires. Kaprow assist the Audiences that he convert audience’s activity into proceed towards creativity according to score of <Yard>. The audiences extends field of individual activities with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the tire dump. Kaprow expect to growth of the subject of active audiences through they creativity activity. Thus, Kaprow proved happening invention to approach urban ordinary through <Yard> and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목차
Ⅰ. 서론
 Ⅱ. <안뜰>의 탄생
 Ⅲ. 타이어: 대중소비문화의 아이콘
  1. 쓰레기에서 미술품으로
  2. 조각공원에서 타이어 폐기장으로
 Ⅳ. 예술가와 관람자의 경계
  1. 카프로우의 역할: 미술가에서 관람자로
  2. 관람자의 역할: 수동적인 관자에서 능동적인 소비자로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선(숙명여자대학교,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Kim, 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