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第3次, 4次, 5次 敎育課程期 敎科書 甲骨文의 樣相과 問題 KCI 등재

The Aspects and Problems of Learning Oracle Bone Inscriptions for the Text in the Third, Fourth, and Fifth Curriculum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8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이 논문은 제3차, 4차, 5차 교육과정기의 교과서를 통해서 갑골문 학습의 양상을 밝히고, 당시 갑골문 학습의 문제점을 밝혀 낸 것이다. 제3차, 4차, 5차 교육과정기에는 분석 대상의 교과서들이 單體字 위주로 甲骨文 한자를 제시하고 있다. 合體字는 본디 會意字와 形聲字의 造字 原理를 제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갑골문으로 제시 된 合體字는 會意字와 形聲字의 조자 원리를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주로 초기 단원 또는 ‘중학교 한문1’에서 甲骨文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초기 학습에 字源을 제시할 목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이다. 상형자의 특징을 보여 주고 한자의 변천 과정과 함께 제시하여 字源 을 통해서 한자를 익히도록 했다. 제5차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서는 ‘內容體系(한문과 교육의 구 조)’가 처음으로 분류 제시되었다. 內容體系는 ‘漢字, 漢字語, 文章’으로 체계화되었으며, 그에 따라 교과서의 소단원에서 ‘본문 이해’의 구성을 ‘한자의 짜임(구조), 한자어의 짜임(구조), 문장의 구조’ 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매 소단원의 한자의 짜임은 楷書를 위주로 ‘한자의 짜임’을 반복 제시하였다. 오히려 甲骨文에 따른 자원 교육은 앞서의 제3, 4차 교육과정기보다도 감소되었다. 제3, 4차 교육과 정기 교과서의 갑골문 제시는 한자의 자원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합체자의 회의자 나 형성자의 자원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제5차 교육과정기 교과서는 ‘한자의 짜임’을 내용체계에서 체계화했으나, 자원 제시 및 자원 해설과 자체 변천 과정 제시는 이전 보다 약화되었다. 제3, 4, 5차 교육과정기의 자원 제시는 체계성이 부족함이 밝혀졌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and problems of Oracle Bone Inscriptions through the textbooks in the third, fourth, and fifth curriculum period. In the third, fourth, and fifth curriculum period, textbooks, which are subject to analysis, represent Oracle Bone Inscriptions mainly in independent form Characters. Although complex form Charaters orginally can represent the coinage principles of associative compounds(會意字) and phonetic compounds(形聲字), complex form Characters in Oracle Bone inscription were not represented the coinage principles. And also, in the most of the initial chapters of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 textbooks', or in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1', Oracle Bone inscriptions are represented. This is just for the purpose to represent the form of Chinese characters in early part. It made students learn Chinese characters through Chinese character etymology,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hieroglyph and representing it together with the transition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exposition of the fifth Chinese character subject curriculum, 'Content system' was represented divisionally at the first time. Content system was systematized into 'Chinese character, Chinese character words, writings, in Chinese character', and according to it, the structure of 'Comprehension of text' was represented into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 word and the structure of sentence'. However,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 in each small unit was repeatedly represented mainly in regular scripts.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Oracle Bone inscription rather declined than the former third and fourth curriculum period. The representation of Oracle bone inscription in the third and fourth curriculum textbooks was represented to show Chinese character etymology, but it could not represent the etymology of associative compounds(會意字) and phonetic compounds(形聲字) of complex form characters, and the fifth curriculum textbooks were systematized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 in the content system, but Chinese characters which have been standardised for a long time could not be represented their etymology enough, dealing with the etymology focusing on regular script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敎科書의 甲骨文 提示 樣相
  1. 第3次 敎育課程期 敎科書의 甲骨文 提示 現況
  2. 第4次 敎育課程期 敎科書의 甲骨文 提示 現況
  3. 第5次 敎育課程期 敎科書의 甲骨文 提示 現況
 Ⅲ. 敎科書 甲骨文 敎育의 問題
  1. 第3次 敎育課程期 敎科書의 甲骨文 敎育
  2. 第4次 敎育課程期 敎科書의 甲骨文 敎育
  3. 第5次 敎育課程期 敎科書의 甲骨文 敎育
 Ⅳ. 나오는 말
저자
  • 송병렬(영남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 Song Pyung Nyul (professor, Yeoungnam University)